환자 13% 비대면 진료 시 증상 설명 어려움 느껴
국민 디지털헬스 역량 따라 비대면 진료 만족도 달라져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국민의 62%가 한시적 비대면 진료에 대해 만족했으며, 88%의 국민은 향후 비대면 진료를 활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주)한국리서치에 의뢰해 한시적 비대면 전화상담 및 처방 서비스를 경험한 국민을 대상으로 비대면 진료 서비스 만족도 및 디지털헬스 역량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는 9월 15일부터 9월 22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만 19세 이상 국민 1707명이 참여했다.

설문내용은 비대면 진료 인지율, 이용매체, 선택이유, 만족도, 활용의향, 디지털헬스 역량 수준 등이어싿.

설문에 참여한 대상자 중 비대면 진료가 한시적으로 허용된 것을 인지하고 있는 비율은 79.1%였지만, 대상자 82.8%는 비대면 진료와 관련한 교육 및 홍보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 환자들은 비대면 진료를 위해 음성/화상전화를 이용(71.7%)했으며, 5분 이내 상담 및 진료(88.0%)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비대면 진료를 선택한 이유로는 편리성(34.0%), 코로나 격리(34.0%) 때문이라는 응답이 높았다.

비대면 진료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비대면 진료 경험자 중 62.3%는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87.9%는 향후 활용의향이 있는 것으로 답했다.

의료기관(의원급)과의 거리가 멀수록, 의료기관 방문 빈도가 잦을수록, 도시보다 읍면지역에서 활용 의향이 높았다.

반면, 비대면 진료 경헝 환자의 13.4%는 비대면 진료 시 증상 등의 설명에 어려움을 느꼈으며, 설명의 어려움은 연령, 학력, 지역과는 무관했다.

여성보다 남성이, 진료 질환이 만성질환일 때 어려움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비대면 진료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가정용/휴대용 건강모니터링 개발·보급(33.7%), 환자·의사 간 실시간 의료정보 제공·활용(24.8%), 온라인 예약·수납(13.9%) 순으로 응답했다.

디지털헬스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된 10개 문항(5점 만점)에 대해 자가평가를 실시한 결과, 인터넷·모바일 등을 활용해 나의 의료정보와 건강정보를 찾을 수 있다와 유익한 건강정보를 건강한 생활 실천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는 항목이 3.65점과 3.64점으로 높았다.

건강정보가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지 판단할 수 있다와 내 의료정보와 건강정보를 질병과 건강관리를 위해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3.33점과 3.39점으로 낮은 편이었다.

대체로 여성은 건강정보 탐색 역량이, 남성은 건강정보 신뢰성에 대한 판단과 건강관리 도구 활용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디지털헬스 역량은 연령이 낮을수록, 읍면지역보다 도시지역에서, 대졸 이상 학력 및 만성질환이 없는 환자, 여성이 스스로의 역량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헬스 역량 수준에 따라 비대면 진료 경험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헬스 역량이 높은 그룹에서 비대면 진료 시 설명에 대한 어려움을 적게 느꼈다.

상담 시간과 정보의 충족도, 진료 만족도, 향후 활용 의향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즉 디지털헬스 역량이 비대면 진료의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디지털헬스 역량이 높은 그룹에서 최근 정부와 민간에서 추진한 코로나19 예방접종서비스, 건강정보활용서비스, 온라인 예약·수납 등 병원서비스, 비대면 건강관리서비스를 더 많이 활용했다.

개인의 디지털헬스 역량이 디지털 기반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진흥원은 "이번 조사는 보건의료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이 급속히 이뤄지는 상황에서 디지털헬스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국민의 디진털헬스 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