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 2022] 서울대병원 구본권 교수 FLAVOUR 연구 결과 발표
중등도 관상동맥협착 환자 예후 직접 비교한 첫 대규모 무작위 연구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중등도 관상동맥협착 환자의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 필요성을 판단할 때 분획혈류예비력(FFR)으로 평가하는 것이 혈관내초음파(IVUS)와 비교해 비열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FLAVOUR 연구 결과, FFR에 따른 PCI 결정(FFR 유도 PCI) 전략을 진행한 군의 24개월째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심근경색, 혈관재생술 등 발생률은 IVUS를 이용한 PCI 결정(IVUS 유도 PCI) 전략을 시행한 군과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게다가 PCI를 받은 비율은 FFR군이 IVUS군보다 낮아 FFR 유도 PCI에 따른 의료자원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서울대병원 구본권 교수는 2~4일 미국 워싱턴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열린 미국심장학회 연례학술대회(ACC 2022)에서 FLAVOUR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학술대회 강연 화면 캡처.
▲서울대병원 구본권 교수는 2~4일 미국 워싱턴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열린 미국심장학회 연례학술대회(ACC 2022)에서 FLAVOUR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학술대회 강연 화면 캡처.

이번 연구는 중등도 관상동맥협착 환자를 대상으로 FFR 또는 IVUS 유도 PCI 시행 시 예후를 직접 비교한 첫 대규모 무작위 연구라는 의미가 있다.

연구를 주도한 서울대병원 구본권 교수(순환기내과)는 2~4일 미국 워싱턴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열린 미국심장학회 연례학술대회(ACC 2022)에서 FLAVOUR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1차 목표점 발생률, FFR군 8.1% vs IVUS군 8.5%

▲서울대병원 구본권 교수. ACC 제공.
▲서울대병원 구본권 교수. ACC 제공.

관상동맥질환 환자 예후는 관상동맥 내강 협착 정도, 경화반(plaque) 부하·특성, 혈관재생술 적절성 등에 따라 결정된다.

환자에게 스텐트 삽입이 필요한지와 어떤 스텐트 종류가 최적인지 그리고 약물치료로 계속 관리할 수 있는지 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IVUS는 형태학적 평가 방법으로 관상동맥 단면영상을 제공해 혈관벽 구조 및 내경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줄 수 있는 침습적 검사다.

또 다른 침습적 검사인 FFR은 관상동맥의 기능적 협착 정도를 평가하면서 심근 괴사 또는 미세혈관 상태 등 생리학적 요소들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다. 이 같은 검사법을 통해 중재술의 필요성을 평가하고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다.

구 교수에 따르면, 중등도 관상동맥협착 환자를 포함한 기존 연구에서 FFR 및 IVUS 유도 PCI가 혈관조영술(angiography) 유도 PCI보다 예후를 더 개선한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FFR 또는 IVUS 유도 PCI 간 예후를 직접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FLAVOUR 연구는 중등도 관상동맥협착 환자에게 FFR 유도 PCI가 IVUS 대비 비열등할 것으로 가정하고 두 가지 전략의 24개월째 임상 예후를 비교했다.

한국 및 중국의 18개 의료기관에서 중등도 관상동맥협착 환자 1682명이 연구에 모집됐다. 이들은 관상동맥에 40~70% 정도의 협착이 있었다.

평균 나이는 65세였고 71%가 남성이었다. 절반 이상은 여러 동맥의 폐색이 있었고 3명 중 1명은 당뇨병을 동반했으며 심근경색 병력 환자는 5.6%를 차지했다. 

전체 환자군은 FFR 유도 PCI군(FFR군, 838명)과 IVUS 유도 PCI군(IVUS군, 844명)에 무작위 배정됐다. PCI 후 표준치료에 따라 이상반응 위험을 줄이고자 6~12개월 이중항혈소판요법(DAPT)을 진행했다. PCI를 받지 않은 환자는 약물로 심혈관질환을 계속 관리했다. 

실제 PCI를 받은 비율은 FFR군 44.4%, IVUS군 65.3%로 FFR군이 더 적었다. 

1차 목표점으로 24개월째 환자 관련 사건(patient-oriented composite outcome, POCO)으로 정의해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심근경색 △반복된 혈관재생술 등을 확인했다. 비열등성 한계(margin)는 2.5%로 설정했다. 

그 결과, 1차 목표점 발생률은 FFR군 8.1%, IVUS군 8.5%로 두 군간 차이는 0.4%p에 불과했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지 않았다(95% CI -3.1~2.2). 이와 함께 FFR군은 IVUS군 대비 비열등성 기준을 충족했다(P for non-inferiority=0.015).

이 같은 경향은 PCI를 받은 군과 약물치료를 진행한 군으로 나눠 FFR 또는 IVUS에 따른 1차 목표점 발생률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유사하게 확인됐다.

약물치료를 시행한 군에서 1차 목표점 발생률은 FFR군 5.0%, IVUS군 5.9%(HR 0.85; P=0.623), PCI를 진행한 군에서 각 11.9%와 9.9%로(HR 1.23; P=0.312) 검사에 따른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아울러 주요 하위분석에서도 FFR군과 IVUS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구 교수는 "중등도 관상동맥협착 환자에서 24개월째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심근경색, 혈관재생술 등을 종합한 예후는 FFR 유도 PCI가 IVUS 대비 비열등했다. 또 FFR군이 IVUS군보다 더 적게 PCI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상반응을 더 경험할 가능성은 없었고 삶의 질은 비슷했다"며 "이번 결과는 의료자원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중등도 관상동맥협착 환자에게 FFR 유도 PCI를 먼저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