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대한당뇨병학회 신년 기자간담회 개최
현재 요양비로 건강보험 지원…교육 없이 사용 시작해 올바른 사용 불가능
"원내 의약품처럼 기기 처방 가능하도록 급여체계 변경 시급"

▲대한당뇨병학회는 24일 서울가든호텔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학회 원규장 이사장은 기자간담회에서 2년간 학회 중점 활동 목표 및 계획을 소개했다. 
▲대한당뇨병학회는 24일 서울가든호텔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학회 원규장 이사장은 기자간담회에서 2년간 학회 중점 활동 목표 및 계획을 소개했다.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효과적인 당뇨병 치료·관리를 위해 연속혈당측정기(CGM)과 인슐린펌프 급여체계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현재 CGM과 인슐린펌프의 건강보험 지원은 의료비가 아닌 요양비로 이뤄지고 있다. 이로 인해 환자가 CGM, 인슐린펌프를 직접 구매하고 사용법에 대한 교육 없이 시작해 올바른 기기 사용이 불가능한 환경이다. 

결국 의료진뿐 아니라 환자도 CGM과 인슐린펌프를 정상적으로 처방 및 사용이 어려운 상황으로, 원내 의약품처럼 해당 기기를 처방 가능하도록 급여체계를 변경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당뇨병학회는 24일 서울가든호텔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CGM과 인슐린펌프는 당뇨병을 완치할 수는 없으나 혈당을 효과적으로 조절해 예후를 개선하고 궁극적으로 심혈관질환 발생과 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음을 입증한 기기다. 미국당뇨병학회(ADA)는 나이·당뇨병 유형과 관계없이 인슐린펌프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CGM 사용을 권고한다.

▲대한당뇨병학회 문준성 총무이사.
▲대한당뇨병학회 문준성 총무이사.

학회 문준성 총무이사(영남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CGM과 인슐린펌프는 환자가 알아서 구입해 사용할 수 있다"며 "해당 기기에 대한 건강보험 지원은 요양비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의료진이 교육을 시행하지 않아도 환자 스스로 기기를 구입해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CGM과 인슐린펌프 등 기기 사용만으로 당뇨병을 완벽히 조절할 수 없다. 환자에게 기기를 제공하고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의미가 될 수 없다"며 "결국 병원에서 어떻게 기기를 사용해야 하는지 지속적으로 교육해야 CGM과 인슐린펌프 사용의 본질적 의미를 살릴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부 지원이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즉 CGM과 인슐린펌프를 사용하는 환자의 지식수준이 중요하며 이를 끌어올리기 위해 급여체계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대한당뇨병연합 김광훈 대표이사는 "2015년부터 대한당뇨병학회와 CGM, 인슐린펌프 보험 적용 관련 활동을 함께 해왔다. 가장 큰 문제는 기기에 대한 요양비 지원"이라며 "CGM, 인슐린펌프는 의료비가 아니라 요양비로 이뤄지고 있어 병원에서 처방받을 수 없다. CGM과 인슐린펌프를 치료제에 포함해 환자들이 병원에서 원스톱으로 처방 및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변경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학회 배재현 언론홍보간사(고대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CGM과 인슐린펌프는 당뇨병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고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최근 무작위 연구를 통해 객관적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입증했고 ADA 가이드라인에서도 권고 근거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며 "항당뇨병제를 조절하는 것처럼 기기 사용에도 의학적 판단과 해석이 이뤄져야 한다. 예후 개선에 도움이 되는 기기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췌도부전 수반 당뇨병, '중증 난치성질환'으로 인정해야

▲대한당뇨병학회 원규장 이사장.
▲대한당뇨병학회 원규장 이사장.

췌도부전을 수반한 당뇨병을 중증 난치성질환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1형 당뇨병과 심한 인슐린 분비 결핍을 동반한 2형 당뇨병은 치료 난이도, 중증도, 의료 비용 측면에서 중증 난치성질환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치료 난이도가 높다는 점에서 1차 의료기관에서 다룰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중증 난치성질환이 아니라는 이유로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일상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고가의 최신 기술을 사용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데 환자가 이를 위해 고액의 비용을 부담하는 상황이라는 것.

학회 원규장 이사장(영남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은 "1형 당뇨병이 현재 경증으로 돼있다. 이는 1형 당뇨병에 대한 수가가 대학병원, 개원가와 관계없이 같아, 환자가 충분한 치료를 받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이로 인해 환자는 당뇨병 코마 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 이사장은 이어 "2형 당뇨병 환자도 시간이 지나면서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아 장애가 나타나게 된다"면서 "당뇨병이 중증질환으로 인정받아 환자들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제언했다. 

한편 대한당뇨병학회 등 5개 당뇨병 전문가 단체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20대 대통령선거 선거대책위원회에 당뇨병 환자를 위한 10대 공약을 전달했다. 

더불어민주당에 제안한 정책에는 회복불가 중증 당뇨병에 대한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겼다. 국민의힘에는 회복불가 중증 당뇨병을 장애로 인정해야 한다는 내용을 전달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