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협 코로나19 관련 진료 실태조사 발표, 총 652명 응답
모 공보의 "혼자 모든 결정 내리는 상황...어떤 시스템도 없다"
단계적 일상회복 이후 일선 병원의 입퇴원 및 진료기능 마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전공의 10명 중 9명이 코로나19(COVID-19) 사태로 일반환자의 진료에 제한이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내과와 응급의학과 등에서 가장 많이 진료에 투입되고 있지만, 유관 진료과가 아닌 모든 과가 코로나 환자를 보는 병원도 27%에 달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지난 3일부터 6일까지 회원을 대상으로 시행한 일상회복 계획 시행 이후 진료환경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총 652명이 응답한 이번 설문조사 결과, 환자에게 위해 가능성이 증가했다는 응답은 59.2%, 일반 환자의 진료에 제한이 있다고 답한 응답은 91.4%로 나타났다.

현재 입원한 코로나 환자의 경우 인공호흡기나 체외막산소공급(ECMO) 등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53.9%, 그에 준해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한 상태로 상태가 악화될 수 있는 환자가 44.6%를 차지했다.

그러나 중환자를 관리할 수 있는 인력은 매우 한정돼 있고, 중환자 치료를 위한 장비도 한정된 상황이었다.

일선에서는 '공중보건의사 투입 외에 재정 지원, 인력 대책에 대한 대책이 너무나도 부족하다'며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각 병원에서는 코로나19 전담 의사를 구하려고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정부의 재정 투입 부족, 업무 과중 등의 이유로 지원자가 많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전협은 "코로나19 중환자 환자를 치료할 인력을 확보할 대책은 그 누구도 내놓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숙련도가 부족한 인력이 현재 코로나19 중환자 치료에 별다른 교육없이 투입됐다"고 지적했다.

 

"환자의 입퇴원, 전원 절차에 큰 문제 생겨"...수술 지연도 일상

병상 확보 관련 대책도 부재하다는 것이 현장의 대체적 평가다. 정부가 내린 행정명령으로 병상 숫자 자체는 늘었으나 환자 진료에 필요한 장비 등의 지원은 전혀 없었다.

지역에서 코로나19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모 공중보건의사는 "상급 직책의 담당자가 한 명 있으나 아무것도 알지 못해 혼자 모든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고 그 어떤 시스템도 없다"며 정부의 빠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실제로 현장에서는 환자의 입원, 퇴원, 전원 등의 절차에 큰 문제가 생기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환자의 재원 기간이 늘어나고 병상가동률의 수치만 증가하고 있다. 

각 병원에서도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고 밀접 접촉자의 수도 늘어나 일선 병원의 입퇴원 및 진료 기능은 마비된 상태이다.

대전협은 응급실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면 응급실을 폐쇄해 그 기간 동안 새로 오는 환자는 진료를 받지 못하고 무작정 대기하는 것이 부지기수라고 지적했다.

대전협은 "코로나19 중환자로 입원이 필요한 환자가 입원하지 못한 채 인공호흡기를 달고 응급실에서 며칠씩 체류하는 것은 이제 병원에서 흔한 광경이 됐다"며 "응급수술이 필요하더라도 발열이 있으면 검사 결과를 기다리느라 제때 수술을 받을 수 없는 경우도 많다"고 했다.

코로나19 이후 악화된 전공의의 수련환경도 개선되지 않았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 코로나19 환자 진료에는 전공의 97%, 교수 56%, 전임의 35.4%, 촉탁의 5.8%, 공보의 7.2%가 참여하고 있었다.

과별로는 내과 81.1%, 응급의학과 27.2%가 코로나 진료에 참여하는 비중이 가장 많았으나 '모든 과에서 코로나19 진료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중 또한 27.2%로 지난 설문보다 다소 높아졌다.

일부 전공의들은 '휴식을 취해야 할 오프(off) 시간에도 코로나19 관련 근무를 강제당해 주말과 연휴가 없어졌으며, 해당 근무일을 인정받지 못해 사실상의 무임금 노동을 하고 있다'며 '현재 전공의특별법이 지켜지지 않는 곳이 많으며 최대 주88시간 근무 또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대전협은 일선 전공의들은 각 과의 수련과 무관한 업무를 담당하며 수련의 의미를 잃어버렸다고 지적했다.

대전협 여한솔 회장은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참담한 현장 상황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라"며 "정책결정자들의 일선 전공의에 대한 책임 전가는 그만두고, 제대로 된 환경 속에서 전공의들이 일할 수 있도록 시급히 처우를 개선하라"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