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상반기 119-권역심뇌센터-지역심뇌센터 시범사업 계획 나올 듯
심뇌혈관질환 1차 응급대응 지역 중소병원 역할 커질 듯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내년 상반기 중 응급심뇌혈관질환 전달체계 개선 방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2021년 국정감사 서면 답변을 통해 119-권역심뇌센터-지역심뇌센터(신규) 등 지역단위 그룹이 참여하는 응급심뇌혈관질환 전달체계 개선 시범사업을 진행해 심뇌혈관질환 발병부터 최종치료까지 소요시간 단축 등 진료성과를 향상시키겠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과 같은 당 김성주 의원은 심뇌혈관 등 중증응급질환 골든타임 내 치료 비율이 낮은 것에 대해 질의했다.

이에 복지부는 응급심뇌혈관질환의 치료성과를 좌우하는 것은 발병부터 최종치료까지의 소요시간이 중요하다며, 응급 환자의 이송-응급진료-최종진료까지 유기적인 전달체계 부족으로 골든타임 내 병원도착 비율이 낮은 것 같다고 진단했다.

현재 응급심뇌혈관질환 발병부터 3시간 이내 병원 도착 비율은 심근경색 45.5%, 뇌졸중은 41.8%에 불과하며, 발병부터 최종치료까지 소요시간은 심근경색증 5.8시간에서 17.8시간, 뇌출혈은 4.5시간에서 11.1시간까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복지부는 응급환자의 이송과정에서 병원 도착 전 응급환자의 정보를 치료 병원측에 사전 고지시 병원 도착 후 영상진단까지 10분 이상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 응급의료 전달체계에서 지연되는 시간의 수준에 따라 사망률이 10%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복지부는 지난 2008년부터 전국 14개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지역 내 일차대응 및 접근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개별 병원 단위 노력만으로는 골든타임 진료를 위해 증상발현부터 이송, 병원 도착까지 병원 전단계 시간을 단축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119와 권역심뇌센터-지역심뇌센터(신규) 등 지역단위 그룹이 참여하는 응급심뇌혈관질환 전달체계 개선 시범사업을 통해 공동의 노력으로 발병부터 최종진료까지 소요시간 단축 등 진료성과를 향상시키겠다는 방침이다.

복지부 질병정책과 관계자는 "현재 지역심뇌센터 선정 및 전달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연구용역에는 지역심뇌센터 지정을 위한 기준과 진료권 설정 등도 포함돼 있다"며 "내년 초 나오는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 상반기 중 전달체계 개선 사업모형을 설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계자는 "권역심뇌혈관센터는 전문진료체계를 구축하고, 최종적인 응급진료를 하고 있다"며 "권역센터는 전문인력 교육과 임상, 재활까지 연계하는 포괄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지역심뇌센터는 진료권 지역에서 발생한 심뇌혈관질환에 대해 1차 응급대응을 통해 신속한 치료를 할 수 있는 곳"이라며 "지역심뇌센터에서 진료 후 필요한 경우 권역심뇌센터로 전원하는 체계의 중심이 된다"고 했다.

응급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했을 경우 심혈관 중재술 및 혈전용해제 투여 등 지역단위 중소병원 중 지역심뇌센터로 지정받은 의료기관이 1차적으로 대응하는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관계자는 "응급환자를 24시간 진료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 중소병원들이 많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정부차원에서 그런 중소병원들이 심뇌혈관질환에 대해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