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 DPP4 억제제 사용군 vs 비사용군 분석 결과 발표
DPP4 억제제 사용군 Aβ 침착 적고 인지력 저하 덜해
“해당 약제의 Aβ 침착 저해효과, 인지력 보호에 기여”

사진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양민후 기자] 국내 연구팀이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DPP-4 억제제가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인지력 저하를 늦출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해당 약제가 인지력을 보호할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일까.

연구진은 DPP-4 억제제의 아밀로이드 베타(Aβ) 침착 저해효과가 인지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평가했다.

이런 긍정적인 영향은 DPP-4 억제제 외 GLP-1 제제, SGLT-2 억제제 등 다른 혈당강하제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고 예측했다.

DPP4 억제제 사용한 알츠하이머+당뇨병 환자, Aβ 침착·인지력 저하 덜해

상계백병원 정승호(신경과) 교수와 세브란스병원 이필휴(신경과) 교수팀이 ‘DPP-4 억제제 사용과 당뇨병 동반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아밀로이드 축적’ 연구 결과를 미국 신경과학회 학술지인 Neurology 9월 호에 게재했다.

알츠하이머병은 인지력 저하를 초래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당뇨병과 연관성이 있다. 두 질환은 인슐린 저항성, 염증 반응, 산화스트레스, Aβ 형성 등 일부 매커니즘을 공유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 가운데 Aβ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발견되는 물질로 질환 발병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DPP-4 억제제는 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강하제로 혈당조절과 더불어 신경염증 억제, 시냅스 가소성 증진 등에 기여하는 다면성을 보였다. 앞서 경증 인지장애를 동반한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인지력 보호에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연구팀은 ‘DPP-4 억제제가 Aβ 침착이 확인된 당뇨병 환자의 인지력 보호에 기여할 것’이란 가설을 세우고 검증에 들어갔다.

연구는 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한 알츠하이머병 관련 인지력 장애 환자 282명의 데이터에 기반했다. 이들은 18F-FBB 스캔을 통해 Aβ 축적이 확인됐다.

환자들은 ▲당뇨병을 동반하고 DPP-4 억제제를 경험한 군(70명, 이하 당뇨병+DPPi4군) ▲당뇨병을 동반하고 DDP-4 억제제 사용 경험이 없는 군(71명, 당뇨병-DPP4i군)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군(141명, 비당뇨병군)으로 배치됐다.

연구팀은 3개 군에 대해 Aβ 침착 정도 및 간이정신상태검사(MMSE) 기준 인지기능을 살펴봤다.

DPP4 억제제의 Aβ 침착 저해, 알츠하이머병 지연으로 이어져

연구 결과 전체 Aβ 침착은 당뇨병+DPP4i군이 당뇨병-DPP4i군(β = 0.075, SE = 0.024, p = 0.002)과 비당뇨병군(β = 0.054, SE =0.021, p = 0.010)에 견줘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간 MMSE 점수의 감소 폭은 당뇨병+DPP4i군이 당뇨병-DPP4i군 대비 0.77 적었다. 당뇨병+DPP4i군의 인지력 저하 속도가 보다 느렸던 것으로 풀이된다.

연구팀은 “DPP-4 억제제 사용군은 Aβ 축적이 상대적으로 적었다”며 “해당 약제 사용과 인지력 사이에도 긍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상계백병원 신경과 정승호 교수.
 상계백병원 신경과 정승호 교수.

정승호 교수는 DPP-4 억제제가 Aβ 침착을 저해하며 인지력 저하를 늦춘 것으로 풀이했다.

정 교수는 “Aβ는 알츠하이머병 초기 또는 증상이 없는 시점부터 쌓이기 시작한다”며 “환자가 인지기능 저하로 내원할 시점에는 이미 뇌 전반에 걸쳐 Aβ 침착이 심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또 “DPP-4 억제제 사용군에서 Aβ 침착이 적었다는 점은 (해당 약제가) 알츠하이머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며 “이에 대해선 추후 임상 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전임상 결과를 살펴보면 일부 단서를 찾을 수 있다. DPP-4 억제제는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 Aβ가 야기하는 신경세포사를 억제한 것이다.

빌다글립틴, 삭사글립틴, 리나글립틴 등 DPP-4 억제제는 Aβ와 더불어 또 다른 치매인자로 불리는 타우 단백질을 감소시켰고 신경염증을 줄여 인지기능 향상에 기여한 바 있다.  

“SGLT-2 억제제 등 타 당뇨병 약제도 가능성 있어”

연구 결과 DPP-4 억제제의 인지력 보호 효능이 당뇨병 유무와 상관없이 발현할 수 있는지 여부가 의문으로 남았다.  

이에 대한 정 교수의 대답은 "그럴 수 있다"였다.

정 교수는 "Aβ 침착 정도는 당뇨병-DPP4i군과 비당뇨병군에서 유사했고, 두 군에 비해 당뇨병+DPP4i군에서 보다 적었다"며 "당뇨병이 없는 알츠하이머병 환자가 DPP-4 억제제 복용 시 Aβ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다른 혈당강하제도 인지력 보호에 도움이 될까?

정 교수는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DPP-4 억제제는 내인성 GLP-1을 높이는 기전의 약제인 점을 참고하면 GLP-1 제제 역시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시각이다.

SGLT-2 억제제는 전임상을 통해 에너지 대사 측면에서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사례가 있고 관련 효능은 임상 연구에서 평가 중이라는 설명이다.

"당뇨병 동반 치매 환자의 약제 선택 돕는 결과"

이번 연구는 2형 당뇨병 치료에 활용되는 DPP-4 억제제의 신약재창출 가능성을 확인한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 대상이 알츠하이머병이어서 의미가 깊다. 2형 당뇨병과 알츠하이머병은 모두 고령화사회로 인해 부담이 증가하는 질환이기 때문이다.

특히 두 질환은 인슐린 저항성이란 주요 매커니즘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향후 DPP-4 억제제 외 다른 당뇨병 약제와 접점을 만들어낼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 교수는 “당뇨병과 알츠하이머병 모두 노화와 관련된 질병으로 초고령화사회로 근접해감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당뇨병을 동반한 치매 환자의 약제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미 사용 중인 약제를 다른 질환에 적용하는 것을 Drug repositioning(신약재창출)이라고 말한다”며 “이 관점에서 SGLT-2 억제제를 비롯한 다른 당뇨병 약이 알츠하이머병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관심을 갖고 지켜보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