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로봇수술연구회 송교영 교수 "환자 안전 위해 이제는 필요"
대한외과학회 "의사에게 또 다른 허들을 만드는 일" 반대 입장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국내에서 다빈치 로봇수술 건수가 계속 증가하면서 '로봇수술 인정의' 제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제도 시행은 쉽지 않아 보인다. 

인튜이티브 서지컬 자료에 따르면, 2019년 3월 기준으로 국내 58개 병원에 85대의 다빈치 로봇이 설치돼 있다. 수술 건수도 10만 건이 넘을 정도다. 

인천성모병원에서 로봇수술을 하고 있는 모습
▲인천성모병원에서 로봇수술을 하고 있는 모습

이렇듯 로봇수술 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환자 안전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로봇수술 인정의 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실제 몇몇 병원에서 로봇수술 중 환자가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 

로봇수술 인정의 제도에 대한 논의는 지난 2014년 시작됐다. 당시 아주대병원 한상욱(외과) 교수가 준비위원장을 맡고, 간담췌외과학회와 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대장항문학회, 위암학회 등에서 준비를 한 바 있다. 

하지만 로봇수술 인정의 제도는 대한외과학회의 반대로 한걸음도 떼지 못했다. 당시 외과학회는 로봇수술 인정의 제도는 의사를 제한하는 규제라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과로봇수술연구회, 로봇수술 인정의 제도 다시 시동 

그런데 최근 외과로봇수술연구회가 다시 로봇수술 인정의 제도에 대한 시동을 걸었다.

연구회 기획위원장인 송교영 교수(서울성모병원 외과)는 로봇수술이 계속 증가하는 상황에서 환자와 의사 모두를 보호하려면 인정의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송 교수는 "로봇수술 경험이 없거나 부족한 의사가 시행하면 환자에게 위험이 될 수 있다. 또 로봇 부속품이 부서질 수 있고, 이를 예민하게 알아채지 못하면 환자에게 위험이 될 수 있다"며 "따라서 반드시 의사의 훈련과 오랜 경험은 필수적이다. 이를 제대로 파악하려면 인정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인정의 제도가 있으면 혹시 의료사고가 발생해도 어느 정도 의사가 보호받을 수 있다"며 "로봇수술 인정의 제도를 운영하는 곳은 일본내시경외과학회(Japan Society of Endoscopic Surgery, JSES) 등이 있다"고 소개했다.

최근 외과로봇수술연구회는 '로봇 수술 임상권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배포했다.
  
송 교수는 "환자가 안전한 로봇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을 만들었다"며 "집도의가 한국외과로봇수술연구회에서 공인한 기관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인증을 취득하도록 했다. 또 최초로 수술할 때는 로봇수술 지도의를 초빙해 지도 및 감독 아래 수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만든 가이드라인은 강제성을 띄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환자 안전을 위해 반드시 지켜야할 내용임에는 틀림없다"고 강조했다. 

외과학회, "굳이 인정의 제도 만들어야 하나" 반대 입장

로봇수술 인정의 제도에 대한 외과학회의 반응은 2014년과 마찬가지로 좋지 않다. 

외과학회 한 고위관계자는 "환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부분은 이해하지만 새로운 허들을 만드는 것에는 반대한다"며 "그런 논리하면 복강경인정의 등 모든 인정의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다른 규제를 만드는 것보다 교육을 더 강화하는 것이 낫다"고 덧붙였다.

외과학회 또 다른 관계자도 반대입장을 보였다. 

그는 "수술로봇이 많으면 모르지만 지금은 다빈치로봇이 대표적이다. 결국 인튜이티브 서지컬의 인정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복강경수술 초기 인정의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런 얘기를 하는 의사는 없다"며 "인정의가 아니라 인증(certification) 정도가 맞을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