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뽀 후 공부 끝났나 했더니 또… 끝없는 배움, 장점이자 단점이죠”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지속적인 경기 침체에도 지난 5년간 제약·바이오 업계는 꾸준히 일자리를 늘려왔다. 

실제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집계한 '제약업계 고용현황'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10년 동안 연평균 2.7%씩 고용을 늘려왔다. 

사상 최악의 일자리 기근에 제약·바이오 업계에 뛰어든 청년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메디칼업저버는 창간 18주년을 맞아 제약·바이오 업계에 뛰어든 청년들을 만나봤다. 

이른바 ‘취뽀(취업 뽀개기)’에 성공해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한 동아제약 홍보팀 권희재 대리, 아스트라제네카 임상팀 김세중 차장, 아주약품 마케팅팀 박주성 주임, 인천가톨릭대 대학원 바이오메디컬아트 김미승 연구원이 참여했다.

① 다양한 전공자 모인 제약산업...성취감은 '대박'
② 공부 그리고 또 공부...전문성 키워야

# 사명감 그리고 배움에 대한 열망


- 솔직하게 단점도 말해보자. 

김세중 : 투철한 사명감이 단점일 것 같다. 

임상팀은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의사, 간호사를 빠르게 응대하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준비해야 한다. 이 때문에 개인 휴가기간이더라도 시간과 업무 시간을 분리하는 게 어렵다. 

임상시험이 진행되는 의료기관에서 프로세스에 대한 의문이 생기면 신속하게 응대해야 한다. 입사 초기에는 휴가 중에 전화가 걸려왔을 때 물어볼 선배도 없어 많이 힘들었다. 특히 개인 시간에도 응대해야 하는 게 불편했다. 

박주성 :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끝없이 공부해야 하는 점이 장점이자 단점이라 생각한다. 앞서 말한 사명감과 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다. 

제약 마케팅은 우리 회사의 약을 사용하는 의사들에게 변화하는 처방 패턴, 이와 관련한 최신 트렌드 등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취업에 성공했으니 이제 공부할 일은 없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취업에 성공한 이후 보다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더 많이 공부하는 중이다. 

- 그렇다면 제약·바이오 업계에 필요한 인재상은.

박주성 : 일단 제약·바이오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하루빨리 입사해 실전에 부딪혀야 한다. 자신이 이 업계에서 일하고 싶은 마음이 큰 것인지, 취업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인지를 분명히 해야 한다는 뜻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면 몸과 마음이 힘들어도 버틸 수 있지 않은가. 

김세중 :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전공자를 우대하지만,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차이는 기초지식을 조금 더 아는가 모르는가 정도다. 실제 업무에 투입되면 전공자든 비전공자든 잘 모르긴 매한가지다. 

몇 년 안 되는 경험에 비추어 보면, 내가 하고 싶은 일이어야 하고, 모르는 부분을 배우고 싶다는 열의가 있어야 한다.그렇지 않으면 쉽게 번아웃에 빠질 수 있는 게 제약·바이오 산업인 것 같다. 

# 대한민국 핵심 산업 되려면


- 20~30년 후에도 이 업계에 종사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어떤 모습이면 좋겠나. 
 

권희재 : 정부는 제약·바이오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적극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규모는 글로벌에 비하면 작은 게 사실이다. 

미래에는 제약·바이오 산업이 우리나라를 먹여 살리는 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그림을 꿈꾼다. 

김세중 : 국내 연구진의 수준은 이미 세계적이고, 실제로 우리나라 연구진과 연구 실적은 글로벌에서 인정받고 있다. 이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은 기초과학 연구개발에 더 투자하는 것이다. 

물론 정부도 급하게 마음 먹어선 안 된다. 제약·바이오 산업은 성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는 걸 알고 있을 것이다. 보다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투자하는 모습을 기대한다. 

박주성 : 제약·바이오 산업은 성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시간과 비용을 투자한다고 해서 성공을 담보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정부와 기업이 이를 인지하고 대대적으로 투자하고 성공을 기다려주는 문화가 만들어지면 좋겠다. 

- 제약·바이오 업계에 미래가 보이나. 

김미승 : 바이오메디컬아트를 공부하고, 여러 보건의료 종사자와 협업하면서 우리나라는 아직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와 지원이 부족하다는 걸 느꼈다. 

정부의 투자와 지원이 계속돼야 취업 준비생, 그리고 제약·바이오 산업에서 파생된 직업군을 가진 사람들도 먹고 살 수 있지 않을까.

- 마지막으로 후배들에게 조언도 한마디씩 해보자. 

김미승 : 바이오메디컬아트처럼 제약·바이오 산업으로부터 파생된 직업군을 모르는 사람이 많다. 많은 사람이 나와 같은 직업을 가진 사람도 있다는 걸 알았으면 한다. 

김세중 : 요즘 취직을 위한 취직을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보람을 느끼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겠지만 내가 국민 건강을 위해 중요한 업무를 하고 있다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게 제약·바이오 산업이라고 말하고 싶다.

권희재 : 얼마 전 택시기사가 제약사 직원은 의사들과 매일 술 마시고 리베이트를 주는 힘든 직업이라고 말씀하시더라. 지금은 전혀 그렇지 않은데 아직도 이런 인식을 갖고 있다는 게 안타까웠다. 후배들은 과거가 아닌 미래를 봤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