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공청회서 산학연 연구자 의견 수렴...향후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에 반영

▲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6일 치매연구개발사업 공청회를 열어 산학연 연구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정부가 제시한 치매연구개발사업의 기본적인 목표와 전략 등이 공감과 환영의 뜻을 이끌어냈지만 세부적인 운영기준은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1조원이 넘는 예산을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만큼 부처간 원활한 소통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있는 예산 운영이 요구됐다.

복지부와 과기정통부는 6일 치매연구개발사업 공청회를 열어 치매 관련 산학연 연구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패널들이 공통으로 지적한 부분은 분야별 성과목표에 맞춰 일괄배분한 예산과 부처 간 이기주의에 대한 우려였다.

한국과학기술원 뇌공학과 정용 교수는 "정부의 치매 연구개발사업 기획안 큰 그림에는 공감하지만 세부적인 면은 다소 아쉽다"며 "예산 집행이 부처 간 이기주의로 제대로 운영이 이뤄지지 않을까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서울의대 김상은 교수(분당서울대병원 핵의학과)는 "10년간 1조원에 이르는 예산은 국내 사정에 맞춰 잘 안배한 예산이지만 배분과 집행 효율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바이오마커 기반 치매 진단기술, 영상진단기술 등의 연구개발 성과가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평가방법을 도입해야 한다"며 "정부의 탑다운 방식이 아닌 일정수준에 이르기까지는 연구자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치매 치료제를 개발 중인 젬백스엔카엘 송현곤 대표 역시 "정부부처가 모이면 효율이 떨어진다"며 "부처 간 소통부재는 어디를 가나 나오는 얘기니 고려해 달라"고 밝혔다.

송 대표는 이어 "1조원이 넘는 예산을 짜맞춘듯이 2000억원씩 배분한 느낌"이라며 "궁극적인 목표인 국민행복을 위한 사업 예산분배가 맞는지 의구심이 든다. 우선순위를 정해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서울대치대 고홍섭 교수는 "연구의 효율성은 예산의 배분과 신진 연구자들을 얼마나 관여시키는지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진다"고 밝힌 후 "치매 연구개발사업이 10여년에 걸친 중장기 사업인 만큼 이를 통해 쌓은 빅데이터 활용까지도 챙겨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외에 대한한의협회 최문석 부회장은 "치매연구개발지원에 한의사 참여가 미흡하다"며 "비약물 치료에 침술을 포함시키는 등 한의학만의 고유 대응방안을 반영하고, 정량적 치매 진단을 위해 현대의료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과기정통부 서경춘 생명기술과장은 "화이자같은 빅파마도 치매 치료제 개발을 포기하는 사례를 보면 민간 기업이 수행하기 쉽지 않다고 판단돼 정부가 R&D에도 적극 개입하게 됐다"면서 "이번 사업만큼은 부처 간 장벽 걱정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 최종적으로 예산은 바뀔 수 있으니 대승적인 관점에서 봐달라"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와 과기정통부는 2029년까지 치매관련 R&D에 1조 1054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으며 공청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반영해 사업기획안을 최종 완성, 올해 4월 사업추진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