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삭센다 72만 1310건, 위고비 39만 5384건 처방
서미화 의원 "BMI 검증 허술, 미용 목적 오남용 막아야"

이미지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선풍적인 인기를 끈 비만치료제 삭센다와 위고비가 최근 5년간 총 111만 6694건 처방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통해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DUR 시스템에서 집계된 처방 건수는 삭센다 72만 1310건, 위고비 39만 5384건이었다.

처방 환자 특성을 보면 여성이 71.5%로 남성보다 훨씬 많았고, 30~40대가 전체의 약 60%를 차지했다. 지역은 서울(40.2%)과 경기(23.5%) 등 수도권에 집중됐다. 삭센다는 2018년 3월, 위고비는 2024년 10월 국내 시판을 시작했으며, 유명인들의 다이어트 성공 사례가 알려지면서 일반인 사이에서도 급격히 수요가 늘어났다. 

문제는 미용 목적으로도 처방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비만치료제는 원칙적으로 BMI 30 이상 비만 환자, 혹은 BMI 27 이상이면서 동반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만 처방이 가능하다. 그러나 허술한 BMI 검증 절차로 정상체중 혹은 저체중환자에도 처방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른 이상사례 우려도 커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5년 3월까지 보고된 이상사례는 총 1708건(삭센다 1,565건, 위고비 143건)이었다. 주요 증상은 △구역(404건) △구토(168건) △두통(161건) △주사 부위 소양증(149건) △주사 부위 발진(142건) △설사(15건) △소화불량(9건) 등이다.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지만, 복용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서 의원은 "최근 SNS와 미디어를 중심으로 위고비 다이어트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지만, 비만환자가 아닌 사람이 미용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비급여 전문의약품이라 하더라도 BMI 검증을 철저히 하고, 오남용을 막기 위한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