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송석준 의원, 23일 법무부 자료 분석 공개
20세 미만 청소년 중심으로 향정사범 급증세 두드러져
“한국도 마약 안전지대 아냐, 해결 방안 필요”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마약류 사범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20세 미만 청소년 중심으로 향정사범의 급증세가 두드러져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이 법무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해 23일 공개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필로폰, 케타민 등 향정신성 의약품(이하 향정) 사범 단속 인원은 2021년 1만 631명, 2022년 1만 2035명, 2023년 1만 9556명으로, 지난 2년 사이 약 84%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상반기까지 향정사범 단속인원은 지난해 동기대비(7407명) 약 18% 증가한 8721명으로, 올해 말에는 지난해보다 향정사범 단속인원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20세 미만 10대 청소년 향정사범 증가세는 특히 심각하다. 15세 미만 향정사범은 2022년 41명에서 2023년 90명으로 2배 넘게 급증했고, 15세에서 20세 미만 향정사범은 2022년 291명에서 2023년 1293명으로 불과 1년 사이 무려 약 4.4배 폭증했다.
특히 15세에서 20세 미만 중고등학생 중에 향정사범이 올해 상반기까지 이미 313명에 달해, 지난해 동기대비(261명) 약 20% 증가하는 등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편 향정사범 재범율은 2021년 54.7%, 2022년 54.4%, 2023년 55.5%로 나타났다. 동 기간 마약사범의 재범율이 각 37.5%, 31.8%, 29.6%였던 것과 비교했을 때 확연히 높은 수준이다.
높은 향정사범 재범율을 볼 때, 10대 향정사범 재범을 막기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송석준 의원은 “최근 향정신성 의약품 범죄가 사회 전반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10대 청소년 사이에서 향정사범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며 “향정신성 의약품 범죄 급증세에 대한 철저한 원인분석과 동시에 범죄 예방 및 재범방지 위한 제도 개선 등 적극적인 대응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 두 달 연속 코로나 치료제 처방 의료기관 증가율 1위
- [동정] 홍부휘 교수, 부위마취학회 학술상 수상
- 서울醫, 아동·청소년 당류 과잉 섭취 문제 해결 나서
- 기대와 우려 공존하는 '환각제 기반 치료제' 승인 가능성은?
- 희귀난치질환자 갈수록 늘어나는데 조기 진단 난항…정부, 지원 강화
- 국내 중독자 치료·회복, 민간 시설 의존도 높아…제도 설립 필요
- 마약 중독자 10명 중 4명은 1030세대…근본적 대책 마련 필요
- 유럽 신종마약 퍼지는데 국내 대응 무방비…선제적 대응 필요
- 오남용부터 사후관리까지...식약처, 마약류 관리 부실 집중포화
- 처방량 기준으로 마약류관리자 지정, '병원 마약류 관리강화법' 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