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회-시청-교육청-소비자단체 4자 MOU 체결
아동·청소년의 당류 과잉 섭취 문제 해결 및 건강한 식습관 형성 목표

서울시의사회가 지난 4일 서울시청과 서울시교육청, 소비단체와 '서울시민 저당 식생활 실천 공동 캠페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서울시의사회가 지난 4일 서울시청과 서울시교육청, 소비단체와 '서울시민 저당 식생활 실천 공동 캠페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서울시의사회가 지난 4일 서울시청과 서울시교육청, 소비단체와 '서울시민 저당 식생활 실천 공동 캠페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아동·청소년의 건강을 위협하는 비만 등 만성질환 원인으로 지목되는 당류 과잉 섭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선 것.

이번 협약으로 서울시의사회와 서울시청은 아동·청소년 비만을 대응하기 위해 전 시민이 저당 식생활을 실천하는 '덜 달달 9988'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요거트 아이스크림과 두바이 초콜릿 등 당류 섭취에 빠진 아동·청소년들이 당 섭취를 줄이는 것을 넘어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제로 서울에 거주하는 12~18세 청소년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은 53.4g으로 전국 평균인 48.6g을 초과한다. 세계보건기구 권고 기준인 50g보다도 높다. 

특히 초·중·고등학생의 비만율 증가 폭은 2017년 22.8%에서 2022년 26.1%로 늘어 건강한 식습관 형성이 시급하다.

황규석 회장은 "소아 비만은 모든 병의 근원으로 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건강보험 재정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며 "당류 과다 섭취도 중독으로 술과 마약 다음으로 중독성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동·청소년기에 단 것에 중독되면 평생 끊지 못하게 된다"며 "아동·청소년 때부터 '저당 섭취 교육'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당을 섭취하면 우리 몸에 세로토닌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돼 쾌감을 느끼게 되는데 여기에 중독되면 끊기 어렵다고 황 회장은 설명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우리 아이들을 마약과 당뇨로부터 지켜내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모든 시민이 건강한 식습관 형성과 식품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