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회-시청-교육청-소비자단체 4자 MOU 체결
아동·청소년의 당류 과잉 섭취 문제 해결 및 건강한 식습관 형성 목표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서울시의사회가 지난 4일 서울시청과 서울시교육청, 소비단체와 '서울시민 저당 식생활 실천 공동 캠페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아동·청소년의 건강을 위협하는 비만 등 만성질환 원인으로 지목되는 당류 과잉 섭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선 것.
이번 협약으로 서울시의사회와 서울시청은 아동·청소년 비만을 대응하기 위해 전 시민이 저당 식생활을 실천하는 '덜 달달 9988'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요거트 아이스크림과 두바이 초콜릿 등 당류 섭취에 빠진 아동·청소년들이 당 섭취를 줄이는 것을 넘어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제로 서울에 거주하는 12~18세 청소년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은 53.4g으로 전국 평균인 48.6g을 초과한다. 세계보건기구 권고 기준인 50g보다도 높다.
특히 초·중·고등학생의 비만율 증가 폭은 2017년 22.8%에서 2022년 26.1%로 늘어 건강한 식습관 형성이 시급하다.
황규석 회장은 "소아 비만은 모든 병의 근원으로 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건강보험 재정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며 "당류 과다 섭취도 중독으로 술과 마약 다음으로 중독성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동·청소년기에 단 것에 중독되면 평생 끊지 못하게 된다"며 "아동·청소년 때부터 '저당 섭취 교육'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당을 섭취하면 우리 몸에 세로토닌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돼 쾌감을 느끼게 되는데 여기에 중독되면 끊기 어렵다고 황 회장은 설명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우리 아이들을 마약과 당뇨로부터 지켜내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모든 시민이 건강한 식습관 형성과 식품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