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의대 교수 향해 "환자 곁에 남아달라" 호소
민법상 25일부터 의대 교수 사직 예상…신환 진료 않기로 결정해 의료 공백 커질 듯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의대 교수들에게 환자 곁에 남아달라고 호소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의대 교수들에게 환자 곁에 남아달라고 호소했다.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의대 교수들의 의료현장 이탈이 예상되며 환자와 보호자의 근심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의료공백이 두 달을 넘기며 장기화되고 있을 뿐 아니라, 오는 25일부터 의대 교수들의 사직 효력이 발생할 수 있어서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22일 의대 교수들에게 환자 곁에 남아달라고 호소했다.

연합회는 "오는 25일부터 발효되는 사직 효력으로 환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환자 곁을 지켜주시길 당부드린다"면서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분만실 등 생명과 직결된 필수중증의료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의료현장에 남아달라"고 호소했다.

전국 40개 의대 교수들은 지난달 25일 사직서를 제출했으며, 민법상 사직은 사직서를 제출한 후 한 달이 지나면 사직 수리 여부와는 관계없이 사직처리가 된다.

의대 교수들의 사직 효력이 발생하면 전공의와 함께 의대 교수들도 의료현장을 떠나게 돼 의료 공백은 더욱 커지게 된다.

이와 함께,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지난 19일 온라인 총회를 열고 신규 환자를 추가로 진료하지 않기로 결정함에 따라, 공백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연합회는 "사태 장기화에 따른 업무 부담 과중으로 불가피한 결정이었으리라 생각한다"면서도 "진료와 입원이 필요한 환자들이 생기는 만큼 우려를 감출 수 없고, 이같은 결정은 국민들의 불안감을 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어떤 주장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아무리 옳다 한들, 환자 생명을 놓고 떠난 의사들이 내놓는 주장은 국민의 신뢰를 얻긴 힘들다"면서 "현장에 남아 환자들과 함께 이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달라"고 부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