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MC, 21일 보도자료 통해 "2025학년도 정원 동결과 의료계 협의체 구성" 제안
이달 말 지나면 의대생 유급 사태 및 의대 교수 이탈 우려
의료계, 정부의 의대 증원 축소 방안 "비과학적" 비판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의과대학 학장들이 의대생 대규모 유급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2025학년도 의과대학 정원 동결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냈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2025학년도 의대 정원 동결과 의료계와 협의체 구성 등을 제안했다.
정부는 지난 19일 6개 국립대총장이 제안한 의대 증원 축소 방안을 받아들였다. 이로 인해, 각 대학총장은 의대 정원을 50~100%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이에 대해 의료계는 과학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원점 재논의를 요구하고 있다.
KAMC 역시 "국가 의료인력 배출 규모를 대학총장의 자율적 결정에 의존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그러면서 "전공의와 학생 복귀, 입학 전형을 고려해 2025학년도 의대 입학정원을 동결해달라"고 제안하면서 "2026학년도 이후 입학정원은 과학적 산출과 향후 의료 인력 수급을 결정할 협의체를 구성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달 말이 지나면 각 의과대학은 법정 수업일수를 맞추기 어렵고, 대규모 의대생 유급 사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의협 비대위도 지난 20일 제9차 회의 후 열린 브리핑에서 "의료 위기를 해결할 시간이 1주일 남았다"며 "대승적 차원에서 원점 재논의라는 결단을 내달라"고 요구했다.
이어 "오는 25일부터 의대 교수들의 사직서가 수리되고, 수리 여부와는 상관없이 의료현장을 떠나겠다는 의사를 밝힌 교수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의협 비대위 "규모 축소, 근본적 해결 아냐…의료개혁특위도 참여 안 해"
- 정부가 의대 정원 증원 폭 줄였지만, 전공의 복귀는 요원
- 한발 물러선 정부... 내년도 의대 증원 50~100% 자율 모집키로
- 박성민 의장, 의정 향해 "대화할 수 있는 명분 마련해야"
- 정부, 오늘 오후 의대정원 증원 규모 조정 발표할 듯
- 손 놓고 의료 공백 바라봐야 하는 환자들, 근심만 더욱 쌓여가
- 전의교협 상급종합병원 신규 환자 치료 단축 결정에 환자단체 ‘우려’
- 성균관의대 교수들 “정부, 소 잃고 외양간 고치지 말라“ 의대 증원 철회 요구
- 의료개혁특위 위원장에 제약바이오협회장…시민계 비판
- 진료협력병원, 기존 168개소에서 189개소로 확대 운영
- 의대 교수들, 주1회 휴진 예고…정부 “흔들림 없이 의료개혁 추진”
- [인사] KAMC 제9대 이사장에 인제의대 이종태 명예교수 취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