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전병왕 실장, 2일 의사 집단행동 중수본 브리핑 개최
“의료계가 의료개혁 이행 방안 등 구체적 의견 제시해달라…집단 행동은 곤란”
합격 인턴 중 10%만이 수련 등록…2일까지 등록해야 상반기 수련 가능

보건복지부 전병왕 보건의료정책실장은 2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을 갖고 의료계가 의대 증원 관련 통일된 합리적 방안을 제시하면 적극 논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보건복지부 전병왕 보건의료정책실장은 2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을 갖고 의료계가 의대 증원 관련 통일된 합리적 방안을 제시하면 적극 논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의료계가 의대 증원 관련 통일된 합리적 방안을 제시하면 정부도 적극 논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보건복지부 전병왕 보건의료정책실장은 2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을 갖고 이러한 입장을 밝혔다.

전 실장은 의대 증원 관련 의료계에서 과학적 근거와 논리를 바탕으로 통일된 합리적 방안을 제시한다면 정부도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개혁의 이행 방안과 투자 우선 순위 등 구체적 의견을 제시해달라”며 “(지금처럼) 집단 행동을 하면서 근거 없이 주장만 하는 방식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일 윤석열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의료계에 의대 증원 관련 통일된 안을 제시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이에 전국 의과대학 교수협의회는 같은 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충분히 현실성 있는 이야기”라며 가능성을 열어두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전 실장은 의료개혁에 관해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국가의 책무”라며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하기도 했다.

의료 개혁이 반발이 심한 어려운 길이라는 건 알지만, 지금이 아니면 10년 뒤 중증·응급환자를 조치할 수 없다며 현재의 갈등을 조속히 수습하고 의료개혁을 완수하겠다는 설명이다.

 

비상진료체계 연장하고 군의관·공보의 투입

복지부는 의료공백이 지속됨에 따라 비상진료체계를 연장하고 인력을 충원한다.

먼저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를 상급종합병원과 공공의료기관에 추가 배치한다. 시니어 의사를 신규 채용하고, 퇴직 예정 의사를 재채용한 의료기관에 지원금을 투입한다.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는 100% 가산하고, 심폐소생술 등 의료행위 68개를 150% 가산해 보상한다. 또 상급종합병원 환자의 전원 및 협력 등을 위한 진료협력병원 역시 168곳까지 확대 지정해 운영 중이다.

한편 의료진의 집단 사직으로 권역응급의료센터 진료 제한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권역응급의료센터 중 27개 중증응급질환의 진료제한 메시지를 표출한 기관은 3월 마지막 주 기준14개소다.

또 올해 상반기 인턴 합격자 중 10%만이 임용을 등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까지 인턴 등록이 안 되면 상반기에는 수련받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전 실장은 “집단행동 장기화로 현장 지키는 의료진의 과중한 업무는 계속되고, 예정 수술 연기되는 등 환자와 가족 불안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 무겁게 받아들이며, 응급실과 중환자실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