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자 수 일주일 여만에 7명으로 늘어...밀접 접촉환자 1명은 방치 속 해외 출국

중동호흡기증후근(메르스) 감염 환자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정부의 신종감염병 대응체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8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20일 첫 확진 환자 발생 이후, 일주일 여만에 메르스 감염 환자가 7명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는 최초 메르스 환자를 진료했던 의료인 1명도 포함돼 있다.

최초 환자 확인 1주일여 만에 감염자 7명으로 늘어...의사도 감염

국내에서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 최초 확진 환자인 A씨는 지난 4월 18일~5월 3일 바레인에 체류하면서 농작물 재배 관련 업무를 본 뒤 카타르를 경유해 5월 4일 국내로 입국했으며, 이후 발열과 기침 등의 증상으로 3곳의 병원에서 외래·입원치료를 받다 20일 메르스 감염 확진 판정을 받았다.

같은 날 A씨를 간병했던 아내 B씨에게서 2차 감염이 확인됐으며, 다음날인 21일에는 A씨와 같은 병실에 입원했던 70대 남성 C씨도 추가 감염에 따른 확진 판정을 받았다.

메르스 확산은 이후 다소 잠잠해진 듯 했지만, 잠복기를 지나면서 감염환자 수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26일에는 C씨의 딸인 D씨, 27일에는 최초 감염환자를 진료했던 의사 E씨, 그리고 28일에는 최초 감염환자와 같은 병원에 각각 입원과 치료를 받았던 F씨와 J씨의 메르스 감염 사실이 추가로 확인됐다.

메르스는 낙타를 매개로 주로 중동 지역에서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2~14일 잠복기를 거치며 발열·기침·호흡곤란·숨 가뿜 등 호흡기 관련 증상을 보인다. 만성질환 혹은 면역기능 저하자의 경우 심하면 사망에 이르며 치료제는 아직 없다.

밀접 접촉자, 정부 방치 속 해외 출국...감염 의심환자 관리 '구멍'

첫 환자 발생 이후 일주일 여만에 감염 환자의 숫자가 7명으로 늘어나면서, 정부의 신종감염병 대응체계에 구멍이 뚫린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자가 격리 그룹에 빠져있던 '밀접 접촉자' 가운데 한 명이 지난 26일 중국으로 출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부의 감염의심 환자 관리가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진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실제 질병본부는 27일 최초 확진환자와 같은 병실을 사용했다 메르스에 감염된 C씨의 아들인 K씨가 중국으로 출국한 사실을 확인하고, 중국 보건당국에 이를 알렸다고 밝혔다. K씨는 C씨를 간병하는 과정에서 메르스에 감염된 누나 D씨와 같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이 병실에 있던 사람이 모두 메르스에 감염된 셈인데, 보건당국은 K씨가 같은 공간에 있었던 사실을 27일에서야 파악했고, K씨는 자가격리조치 조차 받지 않은 채 사실상 방치상태에 있다 해외로 나갔다.

앞서 보건당국은 누나인 D씨의 진단과 격리요구를 수용치 않았다가, 뒤늦게 D씨의 추가 감염 사실이 확인돼 여론의 뭇매를 맞기도 했다.

국회, 보건당국 위기대응 능력 부족...우려·질타

국회에서도 걱정의 목소리가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27일 메르스 관련 현안보고를 받은 뒤, 보건당국이 적절한 위기대응에 나서지 못했다고 질타했다.

새누리당 이종진 의원은 "네번째 환자(D씨)는 본인이 감염을 우려해 자발적으로 검사를 요구했고,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의 격리를 요구했는데 질본은 증상이 없다는 이유로 이를 거절했고, 결국 이확진환자로 판정 받았다'며 "본인이 의심스러워 정부에 요구했는데 정작 정부가 묵살한 것"이라고 질타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은 "현재 정부의 검역 대응지침으로는 잠복기 환자는 손 쓸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치사율이 높고 치료제 조차 제대로 없는 신종전염병인 메르스에 대한 검역절차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정부가 대응과정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또 다시 이 같은 사태가 반복될 것"이라며 "신종감염병 위기관리 시스템에 대한 총체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