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E5 억제제, 연구에 따라 안과 부작용 발생 위험 달라
캐나다 연구팀, 장액성 망막박리 등과 PDE5 억제제와 관련성 입증
이탈리아 연구팀, 망막박리와 PDE5 억제제와 관련성 확인 못해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발기부전(ED) 치료제로 사용되는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PDE5) 억제제인 타다라필 및 실데라필 복용 시 안과 부작용 발생 위험이 연구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고 있다. 

PDE5 억제제의 안과 부작용 이슈로는 장액성망막박리(SRD), 망막정맥폐쇄(RVO), 허혈시신경병(ION) 등이 꼽힌다.  

실데라필, 타다라필 안과 부작용 논쟁 

올해 4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 Mahyar Etminan 박사 연구팀이 JAMA Ophthalmology에 게재한 연구에 따르면, 타다라필과 실데라필은 SRD 등 안과 부작용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발표됐다.

연구팀은 3개월마다 1회 이상 PDE5 억제제를 처방받은 노인 환자에게서 SRD, RVO, ION 등의 IRR(incidence rate ratios)이 높다는 것을 알아냈다. 구체적으로 보면 SRD 2.58로 가장 높았고, RVO 2.02, ION 1.44로 나타났다. 1만인년당 발생률은 각각 3.8건, 3.2건, 8.5건이었다. 

그런데 4월 28~5월 1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비뇨기과학회 연례학술대회(AUA 2023)에서 공개된 연구에서는 PDE5 억제제와 안과 부작용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지 못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이탈리아 산 라파엘 생명보건대학 Federico Belladelli 교수 연구팀은 2007~2021년 IBM 마켓스캔 상용 데이터베이스(MarketScan Commercial Database)와 메디케어 데이터를 분석해 PDE5 억제제와 SRD, RVO 등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참가자의 지역, 연령,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 고혈압, 수면무호흡증 등의 값을 보정했다. 또  양성전립선비대증(BPH) 진단을 받은 환자도 별도로 분석했다. 

연구 기간 동안 193만 8262명이 발기부전을 진단받았고, 61만 5838명이 PDE5 억제제를 처방받았다.  또 PDE5 억제제를 복용 중인 17만 5725명 중 217만 5439명이 BPH 진단을 받았다.  

발기부전 및 PDE5 억제제를 복용 중인 환자를 분석했을 때 보정된 위험비(HRs)는 SRD 1.02, RVO 1.04, ION 0.97로 통계적 유의성을 달성하지 못했다(HR 1.001).

하지만 BPH 환자가 PDE5 억제제를 복용 중일 때는 RVO가 관찰됐는데, 이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HR 1.14, 95% CI 1.06~1.23). 

Belladelli  교수는 "PDE5 억제제 복용과 안과적 부작용 간 관된 연관련성은 관찰하지 못했다"며 "하지만 BPH 환자가 PDE5 억제제를 복용했을 때는 안구 부작용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세밀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타다라필, 실데라필 심혈관 위험 줄여

이미지 출처 : AUA 공식 홈페이지
이미지 출처 : AUA 공식 홈페이지

한편, 타다라필과 실데라필이 심혈관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도 공개됐다. 

미국 콜롬비아대학 Albert Ha 교수 연구팀은 2011~2016년에 등록된 TriNetX Research Network 데이터를 사용해 CVD 및 관상동맥질환(CAD) 등 심혈관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타다라필 투여군(n=6751명), 실데라필 투여군(n=1만 2214명), PDE5 억제제를 복용하지 않은군(n= 2만 2321명)으로 분류한 후 이를 분석했다. 

1차 목표점은 5년 동안의 심부전, MI 발생 , 사망률이었다. 

성향점수매칭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PDE5 억제제 투여군의 심혈관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타다라필 투여군과 PDE5 억제제를 복용하지 않은군을 비교했을 때, 타다라필 투여군이 5년 심부전 위험을 33%, MI 25%, 전반적 사망률을 41%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데라필 투여군과 비교했을 때는 각각 22%, 12%, 35%로 분석됐다. 특히 타다라필 및 실데라필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달성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