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C 2023] TRACE-2, 표준치료 '알테플라제' 대비 유효성 비열등…안전성 비슷
중국 연구팀 "테넥테플라제가 알테프라제 대체할 수 있을 것"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급성 허혈성 뇌졸중 표준치료로 알테플라제 자리를 노렸으나 안전성 문제로 위기를 맞았던 베링거인겔하임의 테넥테플라제가 재반등에 성공했다.

증상 발생 4.5시간 이내에 치료받을 수 있는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 대상의 TRACE-2 임상3상 결과, 테넥테플라제의 혈전용해 효과는 알테플라제 대비 비열등했다.

이번 연구는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표준 혈전용해제가 알테플라제에서 테넥테플라제로 바뀌어야 한다는 세대교체 필요성에 무게를 싣는다.

연구 결과는 8~10일 미국 댈러스에서 열린 미국뇌졸중협회 국제뇌졸중컨퍼런스(ISC 2023)에서 공개됐고, 발표와 동시에 The Lancet 2월 9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3세대 혈전용해제 테넥테플라제, 엇갈린 임상3상 결과

테넥테플라제는 3세대 혈전용해제로, 2세대인 알테플라제보다 반감기가 길고 혈전의 주요 성분인 피브린에 대한 선택성이 좋다. 또 지속 투여가 필요한 알테플라제와 달리 테넥테플라제는 단회 투여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테넥테플라제는 급성 허혈성 뇌졸중 표준치료로 가능성을 평가한 기존 연구에서 긍정적 결과를 얻어왔다.

대표적으로 2017년 발표된 NOR-TEST 임상3상은 테넥테플라제 0.4mg/kg이 알테플라제(0.9mg/kg) 대비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 치료에 우월한 효과를 보이진 않지만 안전성은 유사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지난해 발표된 ACT 임상3상 결과,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게 테넥테플라제 0.25mg/kg 투여 시 알테플라제(0.9mg/kg)와 비교해 유효성은 비열등했고 안전성도 비슷했다. 

그러나 지난해 공개된 알테플라제(0.9mg/kg) 대비 테넥테플라제 0.4mg/kg의 비열등성을 평가한 NOR-TEST 2A 임상3상은 안전성 문제로 조기 중단됐다.

테넥테플라제 0.4mg/kg 투여 시 위험이 감지됐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은 테넥테플라제 0.25mg/kg이 급성 허혈성 뇌졸중 치료 변화를 이끌 것으로 예상했다.

두개내출혈·사망 위험, 알테플라제와 차이 없어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TRACE-2 임상3상은 알테플라제 대비 테넥테플라제 0.25mg/kg의 비열등성을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됐다.

2021년 6월~2022년 5월 중국 53곳 의료기관에서 표준 정맥내 혈전용해제를 투약할 수 있지만 혈전제거술 시행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 1430명이 연구에 모집됐다.

이들은 테넥테플라제군(0.25mg/kg, 최대 용량 25mg, 716명) 또는 알테플라제군(0.9mg/kg, 최대 용량 90mg, 714명)에 1:1 무작위 배정됐다.

전체 환자군은 뇌졸중 발생 4.5시간 이내에 치료받을 수 있었다. 등록 전 뇌졸중 장애 평가 척도인 수정 랭킨척도(mRS) 점수는 1점 이하, 미국국립보건원 뇌졸중 척도(NIHSS) 점수는 5~25점이었다.

1차 유효성 목표점은 90일째 평가한 mRS 점수 0~1점 비율로, 혈전용해제를 투약한 모든 환자군을 분석했다. 위험비에 대한 비열등성 한계(non-inferiority margin)는 0.937이었다.

1차 안전성 목표점은 36시간 이내 발생한 증상성 두개내출혈로, 혈전용해제로 치료받았고 안전성 평가가 가능한 모든 환자군을 대상으로 했다. 

그 결과, 1차 유효성 목표점 비율은 테넥테플라제군 62%, 알테플라제군 58%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RR 1.07; 95% CI 0.98~1.16). 또 연구에서 설정한 위험비에 대한 비열등성 한계 하한치보다 커 테넥테플라제가 알테플라제 대비 비열등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36시간 이내 발생한 증상성 두개내출혈 발생률은 테넥테플라제군과 알테플라제군 모두 2%로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 차이는 없었다(RR 1.18; 95% CI 0.56~2.50).

90일 이내 사망률은 테넥테플라제군 7%, 알테플라제군 5%로 사망 위험은 두 군이 비슷했다(RR 1.31, 95% CI 0.86~2.01).

아시아인에게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

이번 연구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는 점에서 아시아인에게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단 연구에는 혈전제거술이 적합한 장애 위험이 큰 뇌졸중 환자가 제외됐고 오픈라벨로 진행돼, 두개내출혈 위험이 높아 심각한 영향을 받는 환자에게 결과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를 진행한 중국 베이징 수도의과대학 Shuya Li 교수는 "증상 발생 4.5시간 이내에 치료받을 수 있는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1차 유효성 목표점에 대해 테넥테플라제가 알테플라제 대비 비열등했다"며 "테넥테플라제와 알테플라제의 안전성 프로파일 차이는 없었다. 증상 발생 4.5시간 이내인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혈전용해제로서 테넥테플라제가 알테플라제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