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부 박선혜 기자.
학술부 박선혜 기자.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SGLT-2 억제제는 당뇨병 학계뿐 아니라 심장, 신장 등 학계도 주목하는 항당뇨병제다.

DPP-4 억제제 등 다른 항당뇨병제와의 병용요법으로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낮추면서 심혈관·신장 보호 혜택을 줄 수 있다고 입증된 덕분이다. 

의료진은 당뇨병 환자에게 다른 항당뇨병제와 SGLT-2 억제제를 병용 처방하고 싶지만 쉽지 않다. 같은 계열 약제임에도 적응증이 달라 다른 약제와 병용 처방 시 혼란스럽고 삭감 사례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당뇨병 학계는 2016년부터 환자 적정 진료를 위해 당뇨병 약물 급여기준을 개편해야 한다고 요구했고, 정부는 2018년부터 SGLT-2 억제제 병용급여 확대 논의를 시작했다.

그로부터 약 5년이 흐른 2023년. SGLT-2 억제제 병용급여 확대 논의는 성과 없이 헛바퀴를 돌고 있다.

최근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약업계가 '사용범위 확대 대상 검토 당뇨병약제에 대한 재정영향 간담회'를 개최하고 SGLT-2 억제제 병용급여 확대 관련 논의를 가졌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정부가 지난해 연말 병용급여 확대를 위해 제약사에게 관련 약물 자진 인하 신청을 받아 재정영향을 분석했으나, 재정절감액이 100억원에도 미치지 못해 비용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오리지널 의약품 특허 만료 시점인 2025년까지 기다려 재논의를 진행할지도 정부와 제약사 간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진다.

5년여간 당뇨병 학계는 SGLT-2 억제제 병용급여 확대가 필요한 근거와 지지 의견을 제출했다. 그동안 정부는 '논의 중'이라며 미온적 태도를 보이며 이렇다 할 결론을 내놓지 않았다. 

이제 정부는 재정영향 분석 결과가 비용효과적이지 못하다며 논의 시기를 미루고 있다. '이번에는 결론이 내려지겠지'라는 당뇨병 학계의 기대는 점점 희망고문이 되어가고 있다.

정부가 지적한 제약사의 자진인하에 따른 재정절감액만 본다면 SGLT-2 억제제 병용급여 확대로 단기적으로 큰 절감효과를 얻기 어렵다. 

그러나 당뇨병 치료는 단순 혈당 조절이 목적이 아닌 합병증 예방이다. SGLT-2 억제제의 다면발현효과를 고려하면 중장기적으로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을 예방함으로써 추가적인 의료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정부는 과학적 근거 하에 당뇨병 환자에게 필요한 최적 치료가 무엇인지 충분히 고민하고 논의 시기를 미루는 건지 의문이다. 

여러 이유로 SGLT-2 억제제 병용급여 확대 논의가 결론을 내리지 못하면서 당뇨병 학계는 답답함을 호소한다. 

오랫동안 이어진 당뇨병 학계의 희망고문을 끝내기 위해 정부는 어느 방향이든 논의의 매듭을 지어야 한다. 올해는 정부가 보다 전향적 자세로 SGLT-2 억제제 병용급여 확대 논의에 임해주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