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 안스데반 교수팀, 전임상서 '감마델타 T세포'로 종양크기 감소·생존 연장 확인

(좌부터)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안스데반 교수, 가톨릭의대 미생물학교실 최혜연 연구강사.
▲(좌부터)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안스데반 교수, 가톨릭의대 미생물학교실 최혜연 연구강사.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을 항암면역세포로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안스데반 교수(교신저자)·의대 미생물학교실 최혜연 연구강사 연구팀은 건강한 사람에게서 추출한 사람 동종 감마델타 T세포를 교모세포종 동물(쥐) 종양 내 직접 주입한 결과, 종양 크기가 줄고 생존이 연장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 향후 감마델타 T세포를 이용한 항암면역세포 치료 임상시험에서 높은 치료 반응을 얻을 교모세포종 환자군을 밝혀내는 최초 연구로 주목 받고 있다.  

최근 사람 면역세포인 T세포를 분리한 뒤 암세포를 식별하고 공격하는 능력을 강화해 다시 환자에게 주입하는 치료법인 '입양면역 세포치료(Adoptive Cell Transfer)'가 주목받고 있다. 

사람 동종 세포는 환자 자신이 아닌 타인으로부터 받은 세포를 말한다. 감마델타 T세포는 전체 T세포의 5% 정도만 차지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종양 억제효과를 나타낸다. 또 알파베타 T세포와 달리 면역거부반응이 적기 때문에 환자 자신이 아닌 공여자 세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안 교수팀은 교모세포종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수용체-리간드 결합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교모세포종 세포마다 다양한 리간드가 발현되며, 이 중 감마델타 T세포는 DNAM-1 리간드와 잘 결합하는 것을 확인했다.  

수용체는 신호 전달을 목적으로 세포에 들어가는 단백질로, 수많은 종류의 수용체가 일반세포에서 발견된다. 수용체와 결합하는 분자를 리간드라고 한다. 항암제에 암이 특이적으로 가진 수용체를 타깃하는 리간드를 붙이면 더 정밀하게 암을 공격할 수 있어 치료를 위한 다양한 리간드가 연구되고 있다. 

안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교모세포종에 대한 감마델타 T세포의 전임상 효능 및 치료에 반응이 좋을 환자군의 바이오마커를 확립했다"며 "특히 감마델타 T세포는 DNAM-1 리간드와 잘 결합하므로 향후 감마델타 T세포를 이용한 항암면역세포 치료 임상시험을 통해 DNAM-1 리간드가 많은 교모세포종 환자를 선별한다면 높은 치료반응을 얻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종양치료 및 면역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OncoImmunology 10월 30일자에 실렸고, 11월 3~5일 개최된 대한면역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