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부 박선혜 기자.
학술부 박선혜 기자.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서울 한복판에서 길을 걷다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는 비극적 참사가 일어났다.

지난달 29일 핼러윈을 앞두고 즐거움이 가득했던 이태원 일대는 대규모 인파가 몰리며 공포의 공간으로 변했다. 

하루아침에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과 친구를 떠나보낸 지인들은 가눌 수 없는 슬픔에 빠졌다.

악몽 같던 그날은 가까스로 빠져나온 생존자, 현장을 지켜봤던 목격자, 생명을 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 현장 구조인력에게 씻을 수 없는 트라우마로 남았다. 

정부는 참사 유가족과 생존자, 목격자들이 겪는 트라우마 치유를 돕고자 보건복지부 내에 '이태원 사고수습본부'를 꾸리고, 합동분향소에 심리지원 상담소를 설치했다. 

하지만 심리지원 상담소가 설치된 곳은 합동분향소 단 2곳에 불과하다. 게다가 슬픔에서 아직 헤어 나오지 못한 유가족과 생존자, 목격자들은 상담받기 위해 간이로 마련된 상담소에 찾아가야 한다. 

트라우마를 극복하려면 조기 적극적 개입이 필요한데, 가장 심리상담 지원이 시급한 유가족과 생존자, 구조인력을 위한 현장에서의 심리상담 지원은 없다.

또 복지부는 이태원 참사 유가족 600여 명, 부상자 150여 명, 목격자 등 총 1000여 명에 대해 심리지원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태원 참사는 전국 그리고 세계 각국에서 사상자가 나와 심리지원이 필요한 이들을 특정할 수 없다. 세월호 참사 생존자와 유가족은 단원고와 안산시와 같이 특정 장소나 지역으로 한정 지을 수 있었던 것과 다르다.

즉, 세월호 참사는 심리지원이 필요한 이들에 대한 집중된 심리지원이 가능했다면 이태원 참사는 불가능하다. 

게다가 사고 관련자들에게 심리지원을 하는 통합심리지원단은 100여 명 규모로 꾸려질 예정인 가운데, 이들이 모든 유가족과 생존자, 목격자 그리고 구조인력에 대한 심리지원이 가능할지도 알 수 없다.

정부는 이태원 참사 심리지원 대책을 내놓았지만 정작 누구를 위한 것인지 의문이다. 

이번 참사로 많은 사람이 정신적 충격을 받았다. 이태원 참사 심리지원이 기존과 차이가 없거나 소극적이라면 심리적 피해자들의 정신건강을 돌볼 수 없다. 

보다 적극적인 심리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필요하다면 유가족, 생존자에 대한 밀착 심리지원에 더해 목격자나 희생자들의 학교, 직장 등에 심리상담을 지원하고 이를 위한 인프라도 강화해야 한다. 

또 세월호 생존자와 유가족들이 지금까지도 심리지원을 받는 만큼 이번 참사 관련 장기적 심리지원 계획도 내놓아야 한다. 

정부는 참사 수습과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과 함께 국민들이 정신적·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책무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참사로 억울하게 희생된 분들의 명복을 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