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백신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 회의 개최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민간과 정부가 mRNA 핵심소재 및 바이오리액터 등 소부장 국산화 성과 창출을 위한 협의와 촉진 방안을 논의했다.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산자원부는 31일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바이오·백신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2020년 9월 협의체 발족 이후 바이오 소부장 국산화 성과를 점검하고, 수요·공급기업간 상생협력 촉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근 국내 기업들의 방오 분야에 대한 투자 증가로 현재 세계 2위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역량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안정적인 원부자재 공급망 확보가 핵심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글로벌 원부자재 기업 투자유치와 핵심 품목 기술 국산화를 중점 추진하고 있으며, 협의체는 바이오 소부장 국산화를 위한 민관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 대기업들은 대부분 핵심 원부자재와 장기를 미국·유럽 등 선진국 소수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술 국산화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소부장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셀트리온은 바이오의약품 연구 및 생산에 필요한 소부장 핵심 품목 국산화를 위해 국내 중소기업에게 R&D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으며, 상생협력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도 지난 16일부터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테스트 프로그램을 런칭해 국내 소부장 기업에게 제품 테스트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줄 계획이다.

소부장 기업들은 자체 기술 개발 노력과 정부·수요기업의 지원이 결합돼 일부 품목에서 국산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발표했다.

에스티팜은 국내 기업중 최초로 mRNA 백신 원료부터 완제 생산까지 가능한 생산시설을 확보했으며, mRNA 핵심 소재인 지질나노입자(LNP)는 북미 소재 바이오기업에 공급하고 있다.

정현프랜트는 세포와 미생물을 배양하는 바이오리액터 탱크를 제조해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납품할 예정으로, 이를 발판으로 삼아 글로벌시장 진출에도 탄력을 얻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LMS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3M이 독점하던 광학필름을 국산화하고, 세계 1위 기업으로 성장한 경험을 바탕으로 바이오 일회용 백 개발에도 도전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이날 회의에서 기업 수요 조사를 토대로 바이오 소부장 기술 자립 가속화를 위한 인센티브 방안을 건의했다.

수요기업들의 국산화 노력에 대한 세제 지원, 규제기관의 각종 인허가 지원, 정부 R&D 가점부여, 정부 포상 등을 제안했다.

또, 공급기업들을 위해 수요기업과의 교류, 정부 R&D 확대, 해외 인증 및 국내외 마케팅 등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산업부 주영준 실장은 "바이오 소부장 국산화를 위한 수요기업의 상생협력 노력과 공급기업의 기술개발 성과를 높이 평가한다"며 "협회 건의사항을 바탕으로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해 소부장 국산화를 위한 인센티브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복지부 이강호 단장은 "바이오‧백신 소부장 기업들의 국산화 제품 개발부터 해외 파트너십과 연계한 글로벌 수요기업과의 매치메이킹 지원까지 다각도의 지원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와 산업부는 바이오·백신 소부장 상생협력 촉진 방안을 마련해 차기 회의에서 기업들과 공유하고 논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