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病·藥, 안전한 전자처방협의체 제1차회의 개최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의협을 제외한 병협과 약사회가 전자처방번 표준화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추진 방식에는 이견이 표출됐다.

보건복지부는 28일 보건복지인재원에서 의약단체, 환자단체, 전문가, 관련 기관, 업체 등과 안전한 전자처방협의체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안전한 전자처방협의체는 지난 2월 8일 보건의료발전협의체에서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 도입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구성돼 3월 24일 착수회의를 통해 구성 및 운영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전자처방전의 운영 현황, 구축·지원 필요성 및 문제점에 대해 논의됐다.

회의에서 관련 업체인 엔디에스는 처방전 데이터 전달 및 모바일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의 다양한 방식에 대해 발표했다.

병협은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전자처방전 발급 및 환자 편의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등 스마트병원으로 발전을 모색·준비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약사회는 정보기술 발전을 활용해 사회적 비용 절감, 개인 민감 정보 유출 방지, 약국 업무 편의성·정확성 증진 등을 위해 전자처방전 표준화, 공적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 도입 및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하지만, 병원협회는 국민의 민감한 의료정보 집중 및 유출 가능성, 각 병원의 스마트병원 시스템 구축 추진 중인 상황 등을 감안해 공적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이 아닌 표준형 모델을 제시하고 인증하는 방식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날 협의체에서는 환자 편의성 증진 및 약국 업무 체계화를 위해 전자처방전의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다만, 추진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는 만큼 추후 협의체 논의를 통해 심도 있게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전자처방전과 관련해 △처방·조제 절차, 환자 의료정보의 보호, 비용 분석 등 검토 필요 △대체조제 및 사후통보 추진 시 환자 안전 저해 우려 △모바일 방식 도입 및 마이 헬스웨이 연계 필요 △단일 시스템 구축의 문제점 △환자의 약국 선택권 존중 △정보 취약 계층을 위한 종이 처방전 존치 필요성 △단계적 정책 추진 필요성 등 다양한 의견이 개진됐다.  

복지부 고형우 보건의료정책과장은 "정보통신기술 발전  및 모바일 환경의 보편화에 따라 전자처방전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며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전자처방전의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안전한 전자처방 협의체 운영으로 추후 구체적인 검토를 통해 추진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안전한 전자처방협의체 회의에는 복지부에서 고형우 보건의료정책과장, 하태길 약무정책과장, 정연희 의료정보정책과장이 참석했다.

병원협회 송재찬 부회장, 약사회 정일영 정책이사, 환자단체연합회 최성철 이사, 이메디정보기술 김상필 대표이사 엔디에스 양주호 팀장, 레몬헬스케어 김준현 부사장, 건국대병원 김성해 교수, 동국대 김대진 교수, 서울대 박병주 교수, 심평원 유희영 DUR관리부장, 건보공단 김록영 건강서비스부장, 보건의료정보원 강현필 EMR기준개발부 차장이 참석했다.

의사협회 황지환 자문위원도 협의체 위원으로 위촉됐지만 이번 회의에는 협회 내 결정으로 불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