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2026년 과학기술의전원 공식화, 임상 제한 조건도
의사 증원 및 실효성 두고 의료계 반대...이견 좁힐 수 있나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카이스트(KAIST)를 선두로 과학기술특성화대학들이 의학전문대학원, 의과학대학원 설립에 적극 나서자 의료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의전원 설립에 가장 속도를 내는 곳은 카이스트다. 카이스트 이광형 총장은 최근 2026년까지 과학기술의전원을 설립하겠다고 공식화했다.

카이스트는 이미 운영 중인 의과학대학원을 확대한 후 과학기술의전원으로 전환하는 방법도 구상 중이다.

교육과정은 7~8년 동안 의학과 공학을 함께 가르치는 방식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임상으로의 이탈 가능성이 있어 법개정 등을 통해 관련 장치도 마련할 계획이다.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김하일 교수는 "미국은 이미 트레이닝 과정을 지원하고, 졸업 후 연구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비슷한 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기간과 방법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의대를 만들기 위해 최소 50명의 교수진이 필요하다. 의과학대학원을 키워 자연스럽게 정원을 받고, 의전원으로 전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카이스트는 지난달 충북도·청주시와 체결한 '카이스트 오송 바이오메디컬 캠퍼스타운 조성' 협약에서 바이오메디컬분야를 특화한 대학원과 1100병상 규모의 병원 등을 조성하겠다고도 밝혔다.

유사한 움직임은 다른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서도 볼 수 있다.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은 2023년 개원을 목표로 의과학대학원을 먼저 운영하고, 이를 발판으로 의전원을 설립할 계획을 밝혔다.

 

의사과학자 필요성은 공감, 의전원 설립은 의견차 커

"의전원 설립 목적은 의사과학자 양성, 개원가 영향 적다"

의료계는 의사과학자를 체계적으로 양성해야 한다는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의전원 설립에 대해선 반대 목소리가 크다.

익명을 요구한 의료계 인사는 "지금도 카이스트에 의사들이 많이 진학해 좋은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의전원 설립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연구에 특화된 병원이 있다면 가능할 수 있지만 병원은 수익 창출에서 벗어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랜 시간을 공부해도 임상으로 빠질 수 있다. 나 또한 기초의학을 공부했지만 의지가 있어야 하며, 임상 제한을 통해 강제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카이스트 측에서는 의료계의 우려를 이해한다면서도 현실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다만 의사 증원 문제는 해결해야 할 숙제로 제시했다.

카이스트 관계자는 "카이스트 의전원에서 개업하는 의사를 양성할 이유가 없다"며 "의전원 설립 목적은 의사과학자를 양성하는 것이며, 의사과학자에 의지가 없으면 뽑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개원가와 의료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진 않겠지만 의사 정원과 관련한 논의는 절차상 필요하다. 오히려 임상이 아닌 연구로 진입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의과학대학원이 처음 시작했을 때 우려가 많았지만 지금은 잘 정착했고 다른 곳에서도 추진하고 있다. 과기의전원도 성공하면 긍정적인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별개로 정부와 의료계,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등은 의사과학자 양성 방안을 찾기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구성한 '의사과학자 양성협의회'에는 5대 과학기술특성화학교 총장들과 함께 국립대 의대 학장, 병원장 등이 참여하고 있다.

협의회는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장기적인 정책 방향을 마련하고 의대, 병원, 과기특성화대를 활용해 의사과학자 양성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인사는 "1차 협의회에서 의전원 설립은 논의되지 않았다. 이 협의회는 의전원에 집중하기보다는 정책 전체의 방향을 잡는다"며 "만약 실무위 논의 결과 제시된다면 의료계에선 우려를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