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보건의료빅데이터 미래포럼, 데이터 활용 성과 및 방향 논의
의료기관마다 데이터 용어·구조 달라..."표준화 통해 효율적 활용"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보건의료 빅데이터 수요가 점차 늘어나는 가운데, 대규모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역할도 커지고 있다.

심평원은 데이터 보안 시스템 강화, 타분야 결합 활성화, 데이터 표준화 등을 주요 과제로 꼽고 있다.

심평원은 지난해 기준으로 약 1404억건의 법령에 근거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는 의료질평가(4200만건), 의약품(512억건), 비급여·영상정보(91억건), 의료자원(9억 7000억건) 등이 포함된다.

14일 보건의료빅데이터 미래포럼에서 윤정원 빅데이터연구부장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14일 보건의료빅데이터 미래포럼에서 윤정원 빅데이터연구부장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14일 보건의료빅데이터 미래포럼에 참석한 윤정원 빅데이터연구부장은 "수집된 데이터를 원하는 사업체와 공공기관에 공개하기 위해 빅데이터개방시스템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심평원은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 다양한 강점을 제시하면서도 ▲비급여 진료 정보의 부재(가격정보만 존재) ▲진료비 청구를 위한 압축된 정형화 데이터 ▲민감정보 데이터 연계상의 제한점 등을 제한점으로 꼽았다.

윤 부장은 "운영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수집이라 연구를 위한 별도 데이터셋 구축이 필요하고, 민감 정보의 비식별화 이슈 및 철저한 보안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보 유출, 위변조,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 보호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며 비식별화를 2단계에 걸쳐서 하고 있다"며 "구축단계에서는 개인식별정보를 제외한 후 임의 대체키로 변환하고, 정보제공단계에서는 비식별 조치를 추가 강화한다"고 덧붙였다.

심평원은 데이터 활용에서 표준화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꼽았다.

윤 부장은 "기관마다 데이터 용어, 구조가 달라 활용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아 표준화가 가장 중요하다.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개인정보 침해 없이 통합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공통데이터모델(CDM) 변환을 구축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는 공통데이터 모델로 표준화한 데이터를 개인정보 이동없이 개별기관이 분석한 후 결과값만 공유하는 방식이다. 의료기관 내 자체 용어코드는 국제 표준코드로 매핑돼 저장된다.

 

"스타트업 등 이용자 대상으로 빅데이터 지원체계 필요"

학계 전문가도 데이터의 보안 강화, 타분야 결합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한라대 김순석 교수(컴퓨터공학과)는 "중장기적 차원에서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비해 기술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심평원이 단독으로 기술개발 추진이 어렵다면 보건복지부나 결합전문기관 협의체가 논의를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보건의료와 금융 등 타분야 결합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례를 발굴하는 등 다양한 업무혁신 성과를 도출해야 한다. 스타트업 등 데이터활용 이해가 부족한 이용자에 대한 지원체계도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러한 지적에 대해 심평원 박한준 빅데이터실장은 "데이터 활용 측면은 민간사업체, 제약회사, 연구 단체에서 만족스러울 정도의 효과를 보지 못했고, 올해는 특히 이런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이어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 개정정보의 활용을 증설해 진행했고, 내년에는 실제 업무프로세스를 혁신적으로 개선할 생각"이라며 "보건의료와 금융, 통신, 신용정보 결합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기전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지난 7월 민간보험사들이 심평원의 공공의료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승인을 받은 것도 화두였다.

박 실장은 "올해는 민간보험사가 과학적 연구 목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사회적 이슈가 됐다"며 "보건의료 정보에는 민감한 정보가 포함된만큼 무엇보다 각별한 우려가 나왔다"고 말했다.

이어 "데이터 개방과 활용도 방점을 둬야 하지만 개인정보 강화도 공익적 목적에서 꼭 필요하다. 그런 부분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