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병원, 대기업-바이오벤처 매칭·대기업 공익목적 신약개발 등 제안
권 장관, 정부 지원은 마중물 역할 민간투자 확대 노력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국내 제약기업들의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 3상 연구에 필요한 10조 이상의 메가펀드 조성이 필요하다는 국회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20일 2021년 국정감사 종합감사를 진행했다.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의원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국내 제약기업이 글로벌 제약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신약에 대한 기술수출보다 완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강 의원은 "지난해 국내 제약기업의 기술수출액은 11조 6000억원에 달하지만 신약 완제품 개발은 거의 없은 실정"이라며 "완제품 신약 및 백신 개발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라고 권덕철 장관에게 질의했다.

권 장관은 "현재 국내 제약기업의 기술수출은 임상 2상에서 이뤄지고 있다"며 "임상 3상 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투자 빙용과 높은 개발 실패 확율을 우려해 국내 제약기업들이 기술수출을 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강 의원은 국내 후기 임상시험 여건이 나쁘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은 글로벌 임상시험 시정에서 임상시험 시행 1위로 꼽히고 있으며, 임상시험을 위한 관련 인력과 자원, 접근성 및 관련 데이터 수준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것이 강 의원의 지적이다.

이런 후기 임상시험 인프라가 좋은 한국에서 신약 완제품이 개발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 권 장관은 임상 3상의 높은 장벽과 많은 투자비용 및 정부의 임상 지원 어려움을 들었다.

정부가 국내 제약기업에 대해 임상 3상 연구에 지원을 할 경우 WTO 규제에 저촉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권 장관은 "임상 3상 연구 지원을 위해 펀드형태로 뒤받침하고 있다"며 "올해는 정부 예산 500억원을 투자하는 등 1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 의원에 따르면, 미국은 후기 임상시험을 위해 5조원을, 싱가폴은 20조원을 바이오산업에 집중투자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외국 사례에 비해 정부의 1조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부족하다는 것이 강병원의 주장.

강 의원은 "우리나라도 10조원 이상 규모의 메가펀드를 조성해 국내 제약기업들이 안정적으로 후기 임상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권 장관은 "정부의 1조원 규모 펀드 조성은 마중물 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정부의 투자와 바이오헬스 산업의 미래를 보고 민간 영역에서 투자가 이뤄지도록 민간투자협회와 협의를 진행해 민간투자가 이뤄지도록 유도하겠다"고 설명했다.

강병원 의원은 국내 제약기업들의 임상 3상 지원을 위한 3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우선 바이오벤처기업과 대기업을 매칭시켜 바이오벤처들의 후보물질 개발과 대기업의 자본 및 인프라를 활용하는 방안이다.

또 대기업이 공익목적 신약개발에 지원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것과 정부 주도의 메가펀드 조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권덕철 장관은 "대기업이 바이오헬스벤처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신약 및 백신의 상용화에 기여하는 것에 기대를 하고 있다"며 "SK바이오사이언스의 이번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그런 사례 중 하나이며, 정부도 메가펀드 조성을 위해 민간영역과 협력하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강 의원은 미래 성장동력 산업인 바이오헬스산업을 위해서는 과감한 연구개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