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의료원, 신장 공여자-일반인 대상 변화 비교 연구
공여 전과 비교해 경제력 분위 하강할 확률 약 1.4배
연구팀 "공여 후 신기능에 대한 면밀한 관찰 필요"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생체 신장 이식을 진행한 공여자의 대사위험도가 일반인과 큰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이식 후 초기에 측정한 추정 사구체여과율(eGFR) 수치가 낮은 경우 신기능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또한 공여자는 신장 공여 후 여러 사회경제적 불이익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신장 이식을 진행한 공여자의 공여 전후의 건강상태와 사회경제적 변화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현재 국내에서는 연간 2000건 이상의 신장 이식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 중 약 50% 정도가 생체 공여자로부터 기증된다.

그러나 생체 신장 공여자의 단·장기 합병증과 예후, 공여 후 건강상태와 심리적, 사회경제적 문제에 관한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보의연은 생체 신장 공여자의 임상적 분석과 설문을 통한 공여 전후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생체 신장 공여자의 안전을 위한 의료 관리 지침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7개 국립대병원 생체 신장 공여자 2051명 자료 비교

고요산혈증, 고혈압, 과체중 등 일반인과 차이 없어

우선 보의연은 7개 국립대병원에서 1979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신장 이식을 위해 신장 적출술을 받은 생체 신장 공여자 2051명과 일반인(건강 대조군) 2051명을 매칭한 후향적 코호트 자료를 토대로 대사 위험도를 비교했다.

(왼쪽부터) 연도에 따른 고요산혈증, 고혈압 유병률
(왼쪽부터) 연도에 따른 고요산혈증, 고혈압 유병률

그 결과 고요산혈증(남성 7 mg/dL 이상, 여성 6 mg/dL 이상) 유병률은 공여자 및 일반인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히 상승했다.

공여자의 경우 1995~2000년 4.6%에서 2012~2016년 11.5%로 상승했고, 일반인은 6.5%에서 16.5%로 급격한 상승을 보였으나 두 군 간 유병률 상승 경향에는 차이가 없었다.

고혈압 유병률은 공여자가 1995~2000년 7.2%, 2012-2016년 18.5%였으며 일반인은 같은 기간 동안 10.5%, 24.4%의 유병률을 보였다. 두 군간 유병률의 경향에는 차이가 없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은 1995~2000년에는 두 군의 유병률이 32%로 비슷했으나, 2012~2016년에는 공여자가 40%, 일반인이 50%까지 상승했다. 

과체중/비만의 유병률도 전 기간 동안 공여자가 일반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환자 비율이 높았으나, 두 군간 경향에는 차이가 없었다.

초기 추정 사구체여과율 및 1개월 째 추정 사구체여과율 변화에 따른 신장 생존 분석 결과
초기 추정 사구체여과율 및 1개월 째 추정 사구체여과율 변화에 따른 신장 생존 분석 결과

연구진은 공여자의 신기능 회복 확인을 위해 1982년부터 2018년까지 신장 공여자 1358명을 대상으로 만성콩팥병의 위험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이식 후 초기에 측정한 추정 사구체여과율이 높은 경우 신장 생존율이 높았다. 

반대로 초기 수치가 낮은 경우에는 1개월 후 측정한 추정 사구체여과율의 변화량에 따라 신장 생존율에 차이를 보여 공여 후 신기능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여자의 70% "공여 수술비용으로 어려움 겪었다" 응답

신장 공여 후 새롭게 고용될 확률도 일반인 비해 낮아

신장공여자를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변화 분석도 진행됐다.

연구팀이 2003년부터 2016년까지 7개 국립대병원에서 신장 이식을 받은 공여자 1369명과 같은 수로 매칭된 일반인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공여자는 공여 후 사회경제적 상황이 다소 불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여자들은 신장 공여 후 피고용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확률이 높았으며, 새롭게 고용될 확률이 일반인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고용 불평등은 공여 후 2년이 지나면 나타나지 않았으나 단기적, 장기적으로 경제적 영향이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공여자의 경제력 분위가 상승할 확률은 일반인에 비해 약 0.5배로 유의하게 낮았다. 

반대로 공여 전과 비교해 경제력 분위가 하강할 확률은 약 1.4배였으며 이러한 경향이 공여 후 5년까지 유지됐다.

연구진은 서울대병원과 계명대 동산병원에서 신장 공여자 240명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변화를 설문조사했다.

그 결과 전체의 34.2%가 사회적, 경제적 변화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이 중 '공여 시 발생한 수술비용으로 어려워졌다'는 응답이 69.5%, '수술 이후 각종 보험 가입/유지 제한 경험'이 54.9%, '휴학·휴직으로 인한 경력 단절'이 42.7%로 나타났다.

공여 전후로 검사 및 수술, 입원비용은 40.8%의 가장 높은 비율로 '공여자 본인 전액 부담'이 차지했다.

이어 '수혜자가 전액 부담'이 35.4%로 그 뒤를 이었으며 개인 사보험의 혜택을 받았다고 응답한 공여자는 24.2%로 공여 시 사보험의 보장 영역은 크지 않았다.

현재 보험 체계상 모든 공여자에게 공여 시 시행된 검사 및 수술 비용의 일부가 신장 이식 수혜자에게 주어지는 희귀난치성 질환 산정 특례 적용을 받아 환급이 이뤄지고 있으나, 비용을 환급받지 않았다고 응답한 공여자가 25.8%에 달했다.

연구책임자인 서울대병원 이하정 교수(신장내과)는 "우리나라 생체 신장 공여자와 건강대조군을 비교했을때 대사위험도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대사증후군의 증가 추세를 고려할 때 이러한 경향이 유지될지 명확하지 않다"며 "장기적으로 신장 이식 공여자의 안전 관리를 위해 체계적이고 전향적인 국가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공동연구책임자인 보의연 최인순 연구위원은 "생체 신장 공여는 이타적인 마음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여자의 사회경제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