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부 김나현 기자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전 세계를 혼란에 빠트린 코로나19(COVID-19)가 확산된 후 어느덧 1년이 훌쩍 넘었다.

먼 미래로만 느껴졌던 백신 접종도 시작돼 우리나라도 평범한 일상 회복에 다가서고 있다.

다가오는 3분기에는 18~64세 일반인을 대상으로 전국민 백신 접종이 본격화된다.

나 또한 가족과 지인 대부분의 접종시기가 3분기에 속하기 때문에 백신과 관련한 사소한 소식에도 귀기울이게 된다.

실제로 주변 지인들과 이야기를 나누면 백신 접종 부작용, 접종 시기가 주요 관심거리다. 전국민 백신 접종으로 집단 면역을 달성하고 장기화된 전염병 사태를 종식시킬 수 있는 만큼 정확한 정보전달이 가장 중요한 시기임은 분명하다.

그런데 정치권에서는 지난해 독감백신 사태에 이어 또다시 백신의 정치화가 펼쳐지고 있어 아쉬움이 생긴다.

야당 인사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부작용이 20, 30대에서 심각하다며 "뒤늦게라도 불안감 해소를 위해 문재인 대통령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다면 나쁜일은 아닌거 같다"고 비꼬았다.

대통령에 대한 공세에 여당 의원들은 '팔_걷었습니다'라는 해쉬태그를 달고 백신을 먼저 맞겠다며 온라인챌린지(?)에 나서며 응수했다.

복지부 장관, 질병청장이 출석하는 국회 회의날이면 백신 공방으로 회의가 끝난다.

하지만 여당과 야당 모두 객관적인 통계, 백신 임상데이터를 근거로 들며 주장하는 모습은 보기 힘들었다.

정말로 백신의 부작용을 우려한 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이용한 것인지 고민하게 되는 지점이다.

의료단체도 마찬가지였다. 의사면허관리를 강화하는 내용의 '의료법 개정안'이 첫 백신접종을 코앞에 두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문턱을 넘자 대한의사협회에선 백신접종에 협조하지 않을 수 있다며 으름장을 놓았고, 그 틈에 대한한의사협회는 본인들이 백신접종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여기에 더해 경기도지사와 여당 의원은 간호사가 임시로 백신접종을 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놔 또다른 논란으로 옮겨붙기도 했다.

주목할 부분은 백신의 정치화가 '가짜뉴스'로 확대 양산되기 쉽다는 것이다. 각종 SNS가 발달하고 정치색이 짙은 1인 미디어가 급증하며 정치인의 주장은 아무런 검증도 없이 불특정 다수에게 빠르게 전달된다.

'백신접종을 통해 인체에 칩이 삽입된다'는 이야기는 물론, 언론사를 사칭해 '접종을 거부하면 긴급 체포된다'는 내용이 퍼지는 등 가짜뉴스의 폐해는 이미 심각한 상태다.

출처도 모른채 퍼진 가짜뉴스는 백신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키우기 충분하고 향후 접종률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백신을 접종해도 올해 안에 마스크를 벗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본다. 과학으로 뒷받침돼야 할 백신이 정치화 된다면 결국 그 피해는 누가 입게 될까.

정치권은 '백신 정치화'가 아니라 국회에 제출된 추가경정예산안을 꼼꼼히 살펴 의료계를 뒷받침하고, 정부가 당초 계획대로 백신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국민이 백신에 대해 느끼는 공포감을 조금이라도 줄여야 모두가 바라는 평범한 일상으로 돌아갈 날이 더 가까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