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심장수술 전·후에 아스피린 복용한 환자군에서 치료 예후 개선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았던 환자가 비심장수술을 받을 경우 아스피린을 복용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1월 14일자 온라인판에 실린 연구 결과에 의하면, PCI를 받은 환자는 비심장수술을 받기 전부터 퇴원까지 아스피린을 지속적으로 복용했을 때 치료 예후가 개선됐다. 

연구를 주도한 캐나다 알버타대학 Michelle M. Graham 교수는 "PCI를 받은 환자들은 비심장수술 전·후에 합병증 발병 위험이 높다"며 "아스피린이 이같은 위험을 낮추고 환자들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했다"고 연구 배경을 밝혔다. 

POISE-2로 명명된 이번 연구에는 2010~2013년에 23개국 135곳 의료기관에서 비심장수술을 받은 1만여명 환자들이 포함됐다. 이들의 나이는 45세 이상이었고 죽상경화증 발병 위험이 높았다.

단 비심장수술 전 베어메탈 스텐트(BMS)를 6개월 미만 또는 약물용출 스텐트(DES)를 1년 이내에 이식받은 환자들은 분석에서 제외됐다. 

환자들은 아스피린 치료군 또는 위약군에 1:1 비율로 무작위 분류됐다. 아스피린 치료군은 비심장수술 전 4시간 이내에 아스피린 200mg을 복용한 후 퇴원까지 아스피린 100mg을 계속 복용했다. 

1차 종료점은 30일째 사망 또는 비치명적 심근경색 발생으로 정의했고, 2차 종료점은 출혈 위험으로 설정했다.

전체 환자 중 아스피린 치료군 234명, 위약군 236명을 추려내 비교·분석한 결과, 1차 종료점 발생 위험은 아스피린 치료군이 위약군보다 5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HR 0.50; 95% CI 0.26~0.95; P=0.036). 

구체적인 1차 종료점 발생률은 아스피린 치료군과 위약군이 각각 6%와 11.4%로, 아스피린 치료군의 발생률이 위약군 대비 5.4%p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30일째 심근경색 발생 위험은 아스피린 치료군이 위약군보다 56% 낮았으며(HR 0.44; 95% CI 0.22~0.87; P=0.021), 절대 위험 감소율은 5.9%p로 평가됐다(아스피린 치료군 5.1% vs 위약군 11%).

아울러 30일째 사망 발생률은 아스피린 치료군이 0.9%, 위약군이 1.3%로 아스피린 치료군에서 0.4%p 적었지만, 사망 위험은 두 군간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HR 0.65; P=0.61).

이어 두 군에서 나타난 주요 출혈 발생률을 평가한 결과 아스피린 치료군이 3.4%, 위약군이 3.8%로 아스피린 치료군에서 출혈 발생 위험이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HR 0.85; P=0.5).

Graham 교수는 "캐나다심혈관학회 가이드라인에서는 수술 전·후에 아스피린을 복용하면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에서는 PCI를 받은 환자가 비심장수술을 받을 경우 아스피린을 복용했을 때 위험 대비 혜택이 더 컸다"면서 "이번 연구를 계기로 비심장수술을 받아야 하는 환자들이 아스피린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임상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