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약물중독 사망자 1100명, 매년 220명 꼴
서미화 의원 "의약품 처방·복용 관리 강화해야"

재공: 서미화 의원실
재공: 서미화 의원실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최근 5년간 약물중독으로 인한 사망자가 111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220여 명, 약 1.6일마다 1명이 목숨을 잃는 수준이다. 특히 불법마약이 아닌 전문의약품과 의료용마약류가 80% 이상을 차지해 일상적 처방약의 오남용이 큰 문제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약물 급성 중독으로 사망한 사람은 총 1110명이었다. 이중 여성은 596명(53.7%), 남성은 514명(46.3%)이다.

연령대별로는 △40대·50대가 243명(21.9%)으로 가장 많다. 이어 △30대 191명(17.2%), △60대 150명(13.5%) △20대 145명(13.1%) △70대 80명(7.2%) △80대 38명(3.4%), △10대 15명(1.4%) △90대 4명(0.4%) △0대 1명(0.1%) 순이다.

약물 유형별로는 △전문의약품 1399건(50.5%) △의료용마약류 925건(33.4%) △일반의약품 256건(9.2%) △불법마약류 188건(6.8%) 검출되었다. 약물 종류별로는 △최면진정제 740건(28.7%) △항우울제 614건(23.8%) △항정신병약 349건(13.5%) △항불안제 236건(9.1%) △비마약성진통제 129건(5.0%) △항경련제 100건(3.9%) △마약성진통제 69건(2.7%) 등이다.

서 의원은 "약물중독 사망은 특정 집단이 겪는 문제가 아니라, 일상에서 접하는 의약품을 오남용해도 발생할 수 있다"며 "보건의료 당국은 의약품 처방·복용 관리 강화, 약물 오남용에 대한 대국민 교육 등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종합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