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18일 오전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브리핑 개최
전국 수련병원 전공의 사직률 16.4%…빅5는 38%로 더 높아
“추가적 유인책 없어, 이르면 9월부터 상종 구조 전환 시범사업 실시”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김국일 총괄반장은 1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을 열었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김국일 총괄반장은 1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을 열었다.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전공의 행정처분 철회에도 불구하고 현장 출근 전공의는 138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직률은 16.4%, 특히 빅5 병원이 38%를 기록한 가운데, 보건복지부가 안타까움을 드러내면서도 이외의 추가 유인책은 없다는 뜻을 밝혔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김국일 총괄반장은 1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을 열고 이러한 입장을 밝혔다.

앞서 복지부는 사직서 제출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전공의에게 행정처분을 철회하고, 이번에 사직한 전공의는 9월에 복귀할 수 있도록 특례를 제공하기로 한 바 있다.

이에 전국 211개 수련병원에게 지난 15일까지 전공의 사직 처리를 마친 뒤 결원을 확정해 하반기 전공의 모집인원을 신청할 것을 요청한 바 있다.

그러나 복귀 전공의는 정부의 기대를 크게 벗어날 정도로 적은 실정이다. 행정처분 철회 이전인 6월 3일보다 138명 늘어난 정도다.

복지부는 안타깝게 생각하면서도, 앞으로 복귀 특례 이외의 추가적인 유인책은 없다는 설명이다. 그런가 하면 9월 특례 이전에 최대한 전공의들이 복귀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김 반장은 사직 처리 또는 하반기 모집 인원을 제출하지 않은 병원이 있다고 언급하며, 당초 말했던 대로 해당 병원들은 전공의 감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김 반장은 “정부는 수련병원별 사직 처리 등을 확인해 하반기 모집 절차를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라며 “복귀자 권역 제한 여부의 경우, 전공의 복귀 자체가 많지 않아 지역 제한은 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전공의 7대 요구사항 중 의대 증원 백지화와 업무개시명령 전면 폐지를 제외하고는 충분히 적극 경청하고 협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부는 이르면 9월부터 상급종합병원을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전환하는 시범사업에 착수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