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전문가 심포지엄에서 대유행 대비 대응 계획 개정안 공개
“글로벌 공중보건 위기 대응 위한 협력 선도할 것”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COVID-19) 이후 다음 팬데믹 대비를 위한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전면 개정 초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 내용은 20일 전문가 심포지엄을 통해 공개하고 의견을 수렴했다.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은 매년 발생하는 계절인플루엔자가 아닌 신종 또는 변종에 의한 대유행에 대비한 계획으로, 2006년 제정돼 지난 2011년과 2018년 두 차례 개정된 바 있으며, 이번이 6년 만의 개정이다.

이번 개정안은 그간 인플루엔자 대응에 대한 평가와 코로나19 대유행의 교훈을 토대로 유행 규모를 최소화하고, 중증화율과 사망률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인플루엔자는 역사상 가장 큰 유행과 사망을 초래한 대표적인 호흡기 바이러스 질환이다.

매년 유전자 일부가 변형(소변이)돼 계절 인플루엔자가 발생하며, 대유행은 서로 다른 바이러스 유전자의 재조합으로 새로운 바이러스가 탄생(대변이)해 발생한다.

최근에는 미국에서 병독성이 높은 조류인플루엔자가 젖소 간 조류인플루엔자 감염이 전파된 사례가 나타났으며, 이는 사람 간에도 전파가 가능하다는 신호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다음 팬데믹이 신종인플루엔자가 될 가능성을 경고하며 코로나19를 교훈 삼아 미리 준비할 것을 촉구했고, 질병청은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개정안을 마련했다.

제공: 질병청
제공: 질병청
제공: 질병청
제공: 질병청

이번 개정안에는 조기 감시를 통해 유행 발생 전(前) 단계에서 위험신호를 탐지하고 가장 효과적인 대응 수단을 판별하는 것과 핵심 수단인 백신 개발을 100일/200일로 단축하기 위한 전략, 원헬스 전략을 통한 인수공통감염의 공동감시 및 경보 등이 새로 추가됐다.

또 대비 단계에서의 중점과제를 구성하고 있으며, 유행 단계별 피해 최소화 전략을 대응 단계별로 구체화해 제시했다.

대응 분야에서는 유행 초기, 확산기, 회복기로 구분해 해당 시기 주요 과제와 방역 전략을 담았으며, 초기 3일 계획을 예시로 수록했다.

특히 사회 필수 기능을 유지하고 장기간 일률적 봉쇄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사회 대응 조치를 효과성과 비용 효과에 근거해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질병청 지영미 청장은 전문가 심포지엄에서 “향후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신종 인플루엔자에 대비해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며 “이번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을 향후 국제사회에도 공유해 글로벌 공중보건 위기 대응을 위한 협력을 선도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