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희 의원, 국무회의 참석한 박 장관에 대통령 기억력 챙겨야 지적
기동민 의원, 김승희 의원 발언 사과 요구…김 의원, 사과 못한다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개인 기록관 건립을 국무회의에서 의결했지만 전혀 몰랐다는 청와대 해명을 두고 김승희 의원이 대통령의 건망증은 치매 초기 증세와 비슷해 복지부 장관이 대통령 기억력을 챙겨야 한다는 발언으로 복지위 국감이 파행됐다.
자유한국당 김승희 의원은 4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박능후 장관에게 "치매와 건망증을 다르지만 건망증은 치매 초기증상과 유사하다"며 "대통령의 기억력 문제가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최근 국무회의에서 나랏돈을 들여 전용 기록관을 건립한다는 언론 보도를 보고 문재인 대통령이 불같이 화를 냈다고 했다"면서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8월 29일 본인 직접 국무회의에서 전용기록관 건립에 대해 심의, 의결했다. 그자리에 복지부 장관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박 장관은 대통령 주치의 뿐만 아니라 대통령의 기억력도 챙겨야 하다"고 주장했다.
이런 김 의원의 발언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은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김승희 의원의 발언은 대통령이 치매 가능성이 있다는 식의 노골적인 대통령 폄훼 발언"이라며 "국감장에서 대통령이 치매를 유추할 수 있는 인신공격이다. 공식적인 사과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기 의원의 지적에 대해 김 의원은 "도둑이 제발 저리는 것 아니냐?"며 "사과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김승희 의원의 사과 거부에 대해 복지위 여당 위원들은 김 의원에 대해 강하게 항의하면서 사과를 요구했고, 이에 야당 의원들은 김승희 의원을 옹호하면서 국감장이 고성으로 얼룩졌다.
결국, 기동민 의원은 김세연 복지위 위원장에게 "도저히 국감을 진행할 수 없다"며 "정회를 요청한다. 여야 간사간 이번 김승희 의원 발언에 대한 사태 수습과 김 의원 사과 및 해명을 위한 협의가 필요하다"고 정회를 요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