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nd Table Meeting 목록 ( 총 : 33건)

  • 2형당뇨병 환자를 위한 조기 병용처방의 중요성 및 큐턴®의 임상적 혜택

    당뇨병 치료는 단순한 혈당조절을 넘어 합병증 위험을 낮추는 전략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약제 추가가 지연되는 등 ‘단계적 치료’의 한계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여전히 장기간 고혈당에 노출되고 있다. 특히 청년 당뇨병 환자의 경우 유병기간이 길어지는 만큼 베타세포 기능저하에 따른 질환의 악순환이 발생하고, 합병증 위험도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배경에서 당뇨병 초기부터 다양한 병태생리를 동시에 겨냥해 적극적으로 조절하는 ‘조기 병용요법’ 패러다임이 부상하고 있다. 이 전략은 베타세포 기능보존에

  • 2형당뇨병, 조기 병용처방의 중요성 ‘큐턴으로 퀵턴(quick turn)’

    국내 청년인구의 당뇨병 유병률 및 관리 수준이 심각하다. 대한당뇨병학회가 발표한 ‘당뇨병 팩트시트 2024’에 따르면, 40세 미만 당뇨병 인구가 30만명에 달하며, 많은 환자들이 비만을 동반하고 있고 혈당 조절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층은 질병 인지율과 치료 순응도가 낮으며,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할 수록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발병 시점이 이른만큼 유병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혈당을 조절하는 치료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상호보완적인 작용기전을 가진 DPP-4억제제와 SGLT-2억제제 복합

  • 1차 의료기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고중성지방혈증 치료의 필요성

    이상지질혈증 관리전략의 큰 방향이 심혈관질환을 향하고 있는 가운데 스타틴을 통한 LDL-콜레스테롤(LDL-C) 강하와 함께 잔여 심혈관질환 위험도는 주요한 주제로 다뤄지고 있다. 그 중 중성지방은 당뇨병, 복부비만, 고인슐린혈증 등을 동반하고 있는 환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을 더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강조되고 있다. 국내 이상지질혈증 Fact Sheet에서는 중성지방이 높은 환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당뇨병, 대사증후군, 복부비만 등과의 동반율도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성지방의 대표적인 치

  • 고중성지방혈증 치료의 필요성과 한계점

    이상지질혈증 치료는 LDL콜레스테롤(LDL-C)을 낮춰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최종 목표지만, 그럼에도 남아 있는 심혈관질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중성지방(TG, triglyceride)도 조절해야 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국내 진료지침에서는 TG가 지속적으로 500mg/dL 이상인 경우 피브린산유도체 또는 오메가-3지방산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특히 피브린산유도체로는 우수한 TG 강하효과를 입증받은 페노피브레이트 제제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페노피브레이트는 일부 제제에서 식후복용해야 하는 점 그리고 신장기능장애

  • Desservir* of ERD treatment, Quarter dose PPI escorTEN®

    THE MOST는 ‘Desservir of ERD treatment, Quarter dose PPI escorTEN®’을 주제로 위식도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이하 GERD) 관리전략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를 마련했다. 식사를 마무리 하는 디저트(Desservir, dessert의 어원)처럼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를 완성하기 위한 마무리로서 유지치료의 중요성을 주제에 담고자 했다. 장기간 관리가 필요한 GERD에서 유지요법은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다. 국내 GERD의 환자수는 지속적으로 증

  • 당뇨병 약물 아웃컴 검증, 신장기능으로 확대

    당뇨병 약물의 근거구축 패러다임은 ‘안전한 혈당강하’에서 ‘심혈관 안전성 입증’으로 전환되어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SGLT-2 억제제, DPP-4 억제제는 관련 심혈관 아웃컴 임상에서 심혈관 안전성 또는 혜택을 입증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주요 심혈관 아웃컴 임상들의 신장기능 하위분석들이 다수 발표됐다.만성 신장질환 등 신장기능장애는 당뇨병의 주요 합병증으로 꼽힌다. 혈당관리가 되지 않을 경우 당뇨병성 신장병증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고 흡연, 비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동맥경화 위험인자가 동반됐을 경우 그 위험도는 더 높은

  •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RAS억제제 역할

    레닌안지오텐신시스템(RAS)억제제 계열로 꼽히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억제제와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ARB)는 우수한 혈압강하력을 보이는 대표적인 1차 항고혈압 전략으로 꼽힌다. 하지만 임상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방향의 차이를 보이는데 심근경색증 환자에 대한 적용이 그중 하나다.세계고혈압학회 학술대회(ISH 2016)에서 관련 강의를 진행한 경희의대 김종진 교수(강동경희대병원 순환기내과)는 “전반적인 근거들과 한국인 환자 대상 등록사업연구 결과 ACE억제제는 심부전 및 좌심실 수축기 기능부전이 동반된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게 적용

  • 혈관확장효과 베타차단제 카르베딜롤

    베타차단제는 대표적인 항고혈압제다. 2013년 유럽심장학회(ESC)·고혈압학회(ESH) 가이드라인,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에서 항고혈압제 1차 약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특히 임상현장에서 심근경색증, 심부전, 빈맥성 부정맥 환자에서 우선 권고약물로 꼽히고 있는 가운데 세계고혈압학회 학술대회(ISH 2016)에서는 심근경색증에서의 베타차단제 활용전략에 대한 세션이 마련됐다.심근경색증 1차약물서울의대 한정규 교수(서울대병원 심혈관센터)는 심근경색증에서 베타차단제 효과에 대한 근거들을 정리했다. 한 교수는 우선 “베타차단제는 심근 산소

  • 장질환 치료에 항생제 부각

    장내세균 조절을 통해 위장관질환(intestinal disease)을 치료하는 항생제 요법이 새로운 선택으로 주목받고 있다. 장내세균총을 구성하는 유익균은 보호하고(eubiotic effects) 유해균의 활동은 억제하는(antibiotic effects) 리팍시민 요법을 지칭하는 말이다. 리팍시민은 이 같은 기전을 통해 장내세균 생태계의 균형을 조절·유지하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신체 항상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장질환 병태생리 따른 치료 다변화환자의 삶의 질에 악영향을 주거나 심각하게는 목숨까지 위협할 수도 있는 장질

  • High LDL + High TG, 복합 이상지질혈증의 약물치료

    서론이상지질혈증은 고혈압, 당뇨병과 같이 동맥경화를 일으켜 심장병, 뇌졸중 등 심각한 질환을 야기시킨다. 특히 당뇨병 환자에서 이상지질혈증이 흔히 동반되며, 이 경우 동맥경화증이 조기에 발생하며 더 빨리 진행하고, 경과도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상지질혈증은 그 자체가 당뇨병 및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이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생활 개선과 운동량 증가 등 위험 인자를 교정하는 것이 필요하다.특히 한국인의 콜레스테롤 수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한국인 성인 평균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200mg/dL을 상회

  • SPRINT 연구의 해석과 임상진료에 미치는 영향

    SPRINT 연구는 기존에 뇌졸중이나 당뇨병이 동반되지 않은 50세 이상의 고위험 고혈압군에서 목표 수축기혈압을 120mmHg(적극적 혈압치료군, Intensive treatment arm), 140mmHg(표준 혈압치료군, standard treatment arm)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임상연구를 진행했다. 120mmHg를 목표로 중간 추적기간 3.26년 동안 치료한 환자군에서 일차종말점이 25%(95% CI: 0.64-0.89, P<0.001) 감소하였는데 반면 주요이상반응은 120mmHg 치료목표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이 연구

  •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 진료지침 가이드

    최근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 진료지침 가이드’를 주제로 좌담회가 열렸다. 연세의대 차봉수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중앙의대 김재택 교수, 성균관의대 이원영 교수, 광명성애병원 박석오 과장, 연세의대 이병완 교수가 차례로 강연했으며 각 강연 뒤에는 토론이 이어졌다. 이날의 강연 및 토론 내용을 요약·정리했다. 한국인 당뇨병의 역학김재택 중앙의대 교수·중앙대병원 내분비내과2002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국민건강조사(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의 환자 자료 및 NHIS에서 실시한 건강검진 자료를 이

  •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가이드

    최근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가이드’를 주제로 좌담회가 개최됐다. 중앙의대 김치정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서울의대 이해영 교수, 중앙의대 김재택 교수, 서울의대 김상현 교수가 차례로 강연했다. 본지에서는 이날의 강연 및 토론 내용을 요약·정리했다.한국인 이상지질혈증의 유병특성이해영 서울의대 교수·서울대병원 심장내과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이상지질혈증은 고콜레스테롤혈증(total cholestereol, TC≥240 mg/dL이거나 지질 저하 치료제 복용 중), 고중성지방혈증(triglyceride, TG≥

  • 한국형 당뇨병 관리 전략 업데이트

    THE MOST는 최근 ‘한국형 당뇨병 관리 전략 업데이트’를 주제로 좌담회를 개최했다. THE MOST가 주최·주관한 이번 좌담회는 연세의대 차봉수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중앙의대 김재택 교수가 ‘혈당강하제 약제 특성과 혈당 조절 알고리듬’, 서울의대 문민경 교수가 ‘당뇨병 환자의 지질·혈압·혈전 치료’에 대해 발표했고, 각 강연 후 토론이 이어졌다. 혈당강하제 약제 특성과 혈당 조절 알고리듬김재택 중앙의대 교수·중앙대병원 내분비내과환자 특성에 따른 혈당 조절2015년 미국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

  • 우울증이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 평가

    우울감·임상적 우울증·당뇨병 디스트레스 모두 혈당조절에 연관성 보여- Abstract P1026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은 혈당조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에 관련된 근거들에서는 일관된 결과들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에 일라이 릴리 H. Ascher-Svanum 박사팀은 다각도로 평가한 우울증상과 혈당조절 간 연관성을 평가했다. Ascher-Svanum 박사는 “이전 연구들의 방법이나 질도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우울증을 측정하는 도구들과 당뇨병 관리에 연관된 영향을 평가하는 도구들이 다양하

  • 심뇌혈관질환의 임상지표로서 혈압 변동성의 역할

    혈압 변동성과 뇌졸중홍순준 고려의대 교수·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혈압 변동성의 개요혈압 변동성은 visit-to-visit 변동성, within-visit 변동성, 24시간 활동혈압(ambulatory blood pressure, ABP) 측정 시 나타나는 circadian 변동성, 계절별 변동성, 스트레스에 기인한 변동성, 치료 효과에 의한 변동성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visit-to-visit 변동성은 진료실에 방문할 때마다 수축기와 확장기혈압을 측정해 그 변화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 변동계

  • 당뇨병 환자의 이상지질혈증 치료

    당뇨병 환자에서 지질 치료의 중요성김대중 아주의대 교수·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지질 치료의 목적당뇨병 환자에서 지질 프로파일의 개선 목적은 심혈관질환의 예방이다.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의 발생률이 특별히 높은 주된 요인에는 인슐린 저항성 및 그와 연관되는 이상지질혈증, 혈행 동태학적 이상, 염증 관련 질환 등이 있다. 최근 Korean Heart Study (KHS)에서 43만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분석한 결과 고혈압이 가장 큰 위험요인이었으며 체질량지수, 당뇨병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당뇨병은 1.7배 정

  • 2014 대한간학회 학술대회

    대한간학회(이사장 한광협, 연세의대)가 6월 12~14일 제주도 해비치 호텔에서 춘계학술대회를 성료했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대한간담췌외과학회, 대한간암연구학회, 대한간이식학회가 공동으로 참가해 국제학술대회 규모로 크기를 키웠다는 점이 눈에 띈다. 학회장에는 국내를 비롯 총 9개국에서 접수된 491편(해외초록 27편) 연구초록이 발표되고 31명의 해외 연자가 참여해 활발한 교류가 이뤄졌다. 커진 규모는 학술프로그램에 그대로 반영돼 간염에 대한 최신지견은 물론 간섬유화증, 간암, 간 관련 재생의학과 자가면역질환 등 폭넓은 주제가 논의됐

  • 노인증후군의 임상 관리 전략

    노인증후군의 정의와 임상 적용원장원 경희의대 교수·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노인증후군의 개념노인 환자에서 나타나는 건강 문제는 기존의 질병 진단명 및 증후군과 일치하는 경우가 약 50%에 불과하므로 새로운 개념과 정의가 필요하다. 노인 환자의 경우 노화로 인해 각종 장기의 기능이 저하되고 만성 질환이 다발할 뿐만 아니라, 영양 부족 및 다수의 약물 복용, 사회·경제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비전형적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노인증후군이라 한다. 다시 말해 노인증후군은 기존의 질병 진단명이나 증후군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비전형적 소견

  • 2014년 호흡기질환 업데이트

    THE MOST는 최근 ‘2014년 호흡기질환 업데이트’를 주제로 좌담회를 개최했다. THE MOST가 주최, 주관한 이번 좌담회는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이사장인 경희의대 유지홍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한림의대 박용범, 울산의대 오연목 교수가 강연한 후 토론이 이어졌다.COPD 가이드라인 업데이트박용범 한림의대 교수·한림대강동성심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가이드라인 개정 가장 많이 사용하는 global initiative for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 가이드라인은 2011년 이전까지는 1초간 강제호기량(fo

  • 더보기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