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 모니터링 결과 발표...복지부 품목 조정 검토에 드라이브

대한약사회가 안전상비의약품 판매업소 관리문제가 심각하다며 복지부의 품목 조정 검토에 드라이브를 걸고 나섰다. 

대한약사회(회장 조찬휘)는 안전상비의약품 판매업소가 관련 규정을 어느 정도 준수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약사회에 따르면 조사 대상 300개 판매업소에서 무려 215개 업소(72.7%)에서 위반 사례가 조사됐으며, 이중 동일품목 2개 이상 판매가 117개 업소(3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든 판매점이 POS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나 2개 이상 판매 제한을 회피할 목적으로 각각 결제하거나, 서로 다른 POS 기기에 테그하는 등의 방법으로 위법행위를 자행하고 있었으며, 종업원은 2개 이상 판매가 금지된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대한약사회는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지역 안전상비의약품 판매업소 300개를 대상으로 직접 현장 방문 조사를 실시했다.(지역별 준수사항 위반건수는 복수응답 가능) 

대다수 판매업소가 종업원 고용 비중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종업원에 대한 교육이나 관리체계가 보다 체계적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업원의 위반률이 점주의 위반률 보다 높아 약사회는 종업원의 교육이나 관리체계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편의점 판매 실태에 대한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엄상화 교수팀의 연구에서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데, 편의점 판매자 중 아르바이트는 73.1%가 교육 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음주 후 아세트 아미노펜 제제를 복용할 경우 간독성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지만 지식이 없다보니 타이레놀이 추천되는 사례가 25.7%나 됐다. 

판매업소에서 상비약 판매자 등록증이나 주의사항에 대해 게시하지 않는 사례가 각각 30.0%, 14.3%로 조사돼 안전상비약을 이용하려는 국민들에게 최소한의 정보 전달도 지켜지지 않고 실정이었다.

약사회는 "안전상비약은 다른 의약품 보다 더 안전하다는 인식을 주는 것도 문제이지만, 판매업소의 허술한 관리시스템으로 인해 안전상비약의 위해성이 높아진다는 것은 제도의 도입 취지를 훼손하는 것이라며, 이러한 관리 체계라면 제도를 철회하는 것이 국민 건강에 더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모니터링은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서 지역별 판매업소 비율에 따라 300개 점포를 선정해 진행됐으며, 약사법령 및 판매자 교육 내용에 근거한 모니터링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직접 방문 조사한 결과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