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명연 의원 “수입 의존 결핵검사 국산화로 예산부족 해결가능”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결핵 조기검진을 위한 잠복결핵 환자 진단검사제를 국산화할 경우 635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새누리당 김명연 의원.

새누리당 김명연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내년부터 시행될 잠복결핵 검사를 위한 소요 예산은 1145억원에 이르지만, 현재까지 정부부처 사이의 이견으로 예산확보가 불투명한 상황.

이런 가운데 올해 3월 정부가 ‘결핵안심국가 실행계획’을 발표하면서 내년부터 ▲의료기관 종사자 ▲어린이집 교사 ▲유치원, 초·중·고 교사 등 집단시설 종사자 ▲고등학교 1학년 ▲징병검사자 ▲40세 국민 등 약 254만명에 대한 잠복결핵 검사가 시행된다. 

하지만 유치원, 초·중·고 교직원 및 고위험군인 고등학생 1학년생 등 약 60만명에 대한 검사비용을 두고 교육부가 난색을 보이며 예산 확보에 비상이 걸린 것. 

실제 전체 대상자 중 검진율 90%를 감안했을 때 1인당 비용 4만 5000원을 적용한 총 예산 243억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이 이어지자 김 의원은 잠복결핵검사 진단제를 국산화할 경우 매년 부족한 예산을 충당할 수 있다며, 국산화 개발 연구를 주문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잠복결핵검사 진단제를 국산화에 성공할 경우 1만원에 공급할 수 있다. 현재 시중 구입가 3만 5000원보다 2만 5000원이 저렴한 가격이다. 

이를 연간 검진대상 254만명으로 환산하면, 약 635억원이 절감된다는 게 김 의원의 주장이다.

김 의원은 “결핵후진국이라는 오명을 안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비싼 수입 진단제로 인해 잠복결핵검진 예산조차 확보하지 못한다는 것은 비극”이라며 “진단제 국산화를 위해 과감한 연구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한편, 결핵 백신의 경우 국산화된 백신이 없어 해외 제약사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매년 물량부족 사태를 되풀이하고 있다. 

실제로 SSI사가 지난해부터 결핵백신 생산을 중단하면서 최근 질병관리본부는 일본에서 주사형 BCG 백신 2만 앰플을 대체수입해 지난 8월 보건소에 추가 공급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지난 2011년부터 정부가 결핵백신 공급능력 확보를 위해 국산화 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아직 임상시험 완료까지 5년여가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며 “국산백신의 개발과 함께 잠복결핵검사 진단제의 국산화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