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지널사 대비 전략, 품질 및 가격경쟁력 확보 필요

바이오의약품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차세대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바이오시밀러의 성공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증권가에 따르면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12년 1690억 달러로 전체 의약품 시장의 18%를 차지했으며, 2017년에는 2210억 달러로 전체의 20%까지 비중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중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2012년 8억 8000만 달러 수준에서 연평균 성장률 60.4%의 고성장 추세를 이어가 2019년 약 2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발맞춰 우리나라 정부도 2020년까지 세계 7대 바이오의약품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으며, 17일에는 '바이오헬스 미래 신사업 육성 전략' 발표를 통해 기술개발부터 글로벌 임상, 생산·수출 전주기에 걸쳐 바이오의약품 분야에 올해 총 34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만큼 제약사들의 상업적인 성과에 정부가 기대를 걸고 있다는 의미다.

실제로 국내 제약사들은 적극적으로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셀트리온의 램시마, 허쥬마, 한화케미칼의 다빅트렐은 이미 국내 허가를 획득했고, 삼성 계열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도 엔브렐의 바이오시밀러 SB4의 허가를 신청했다.

국내 바이오시밀러 가이드라인은 EMA 기준을 모델로 삼았기 때문에 해외 진출에도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셀트리온의 렘시마도 2013년 유럽 허가를 획득했으며, 동아쏘시오그룹, 대웅제약, LG생명과학 등도 내수시장이 아닌 글로벌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에서 첫번째 바이오시밀러인 산도스의 자지오(필그라스팀, 오리지널은 암젠의 뉴포젠)가 시판승인을 획득해 관련 업체들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전 세계의 절반 규모에 해당할만큼 거대하기 때문.

또 그 동안 바이오시밀러에 대해 유럽보다 보수적인 입장을 취해왔던 미국이 2월 초 정부의 2016년 예산안 발표에서 고가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약가협상 의지가 있다고 밝힌 점도 긍정적이다.

김태희 현대증권 연구원은 "이번 허가는 바이오시밀러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던 미국이 인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미국은 의약품 처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보험사들이 바이오시밀러를 선호한다. 미국의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유럽보다 빠르게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목표는 글로벌…풀어야 할 숙제 많아

그러나 바이오시밀러는 일반 제네릭보다 분자 구조가 복잡하고 까다로운 제조과정을 거치는 등 개발이 쉽지 않아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업체 산도즈(Sandoz)에 따르면 바이오시밀러 개발 비용은 약 7500만 달러에서 2억 5000만 달러 사이(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은 약 8억 달러)로 제네릭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 후 나라별로 복잡한 허가 절차와 오리지널 대체를 위한 임상비용 등도 난관으로 꼽힌다. 바이오시밀러는 제조사마다 제조 공정, 세포가 생산하는 단백질의 세포 특성, 환경 등이 달라 오리지널과 완전 같은 제품을 생산할 수 없다. 이에 바이오시밀러의 대체가능성(interchangeability) 논란이 존재한다.

삼성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EMA는 바이오시밀러의 대체가능성에 대해 EMA 레벨에서 허용해 주는 조항이 없으며, 그 판단을 각 유럽 국가들에게 일임하고 있다. 대부분 나라들이 바이오시밀러의 자동적인 대체 조제를 허용하지 않고, 허용 하더라도 여러 가지 단서 조항을 붙인다.

독일,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은 자동적인 대체 조제를 불허하는 가이드라인을 배포했고 프랑스의 경우 2014년 1월 1일부터 'Social Security Finance Bill for 2014'에 따라 바이오시밀러의 자동적인 대체 조제를 허용했지만 치료를 처음 시작하는 환자에게만 적용토록 했다.

미국 FDA는 원칙적으로 바이오시밀러의 대체가능성을 인정하지만 자세한 가이드라인은 나오지 않았으며, 2014년 12월 말 기준 미국 8개의 주가 바이오시밀러의 대체가능성을 인정한다는 내용의 법안을 제정했고 13개 주가 법안을 마련했지만 의회에서 통과되지 않았다.

캘리포니아 주는 의회에서 법안이 통과됐지만 주지사가 거부권을 행사했고 뉴저지 주는 법안 통과가 연기됐다. 이는 바이오시밀러의 대체 가능성에 대한 보수적인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시밀러의 등장에 처방 감소를 우려하는 오리지널 제조사들의 전략도 넘어야 할 장벽이다. 업계에 따르면 미국 허가를 받은 자지오의 오리지널 제조사 암젠은 산도스가 바이오시밀러 허가 규정을 지키지 않았다며 지난해 11월 소송을 제기했다. 얀센도 셀트리온 램시마가 레미케이드의 상표권을 침해했다며 소송을 걸었다.

암젠의 소송에도 자지오는 허가를 획득했고, 얀센의 상표권 분쟁도 재판부가 셀트리온의 손을 들었지만 바이오시밀러 업체 입장에서는 오리지널사의 적극적인 대응 방식을 확인하게 된 셈이다.

또 미국에서 바이오시밀러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BPCIA(바이오의약품 가격 경쟁 및 혁신법)에 따라 바이오시밀러 개발사가 오리지널 사에 허가와 관련된 모든 자료를 송부 하는 등 절차를 밟아야하기 때문에 오리지널사의 소송 전략은 향후에도 반복될 것으로 업계는 우려한다.

소송 외에도 로슈는 2012년 자사 오리지널 허셉틴, 리툭산에 대해 인도의 Emcure사와 인도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토록 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저가 바이오시밀러와 경쟁하기 위한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해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겠다는 전략이다.

또 로슈는 바이오시밀러 개발보다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적인 바이오 신약을 꾸준히 개발해 바이오시밀러의 위협에 대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밖에도 지난해 12월 개최된 '바이오파마 코리아 2020 컨퍼런스'에서 이동억 CJ헬스케어 상무는 바이오시밀러 해외 진출을 위해 글로벌 경쟁력 우위선점, 높은 임상비용, 품질분석 및 비임상 인프라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상무에 따르면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력을 확보해야 하며, 대량생산에 기초한 품질 및 가격경쟁력 확보가 관건이다.

또한 임상시험 연구비에서 대조약 구입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임상에 어려움이 있고 오리지널사가 대조약의 대량 구매에 협조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며 대조약에 보험급여를 적용해 임상비용을 절감토록 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아울러 국제 허가기관 요구 수준의 단백질의약품 분석, 임상시료 분석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CRO의 역량 부족으로 대부분 기업이 해외 CRO를 이용해 막대한 비용이 지출된다고 밝혔다. 평균적으로 비임상 단계 CRO 이용에는 건당 약 20억원에서 30억원이 소모된다.

특히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개발사의 특허 연장 전략으로 계속적인 특허 정보 확인이 필요한데, 정부가 구축하는 특허정보시스템을 바이오의약품 전분야로 확대해야 하며 특허청과 연계해 주요 특허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등 사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셀트리온, 삼성 뿐만아니라 국내 로컬 제약사들도 바이오시밀러의 해외 진출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동아쏘시오그룹은 4월 1일자로 바이오시밀러 전문 조직을 분할하고 일본 Meji Seika Pharma와 협력을 통해 허셉틴, 휴미라 등 바이오시밀러 해외 진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밖에 업체들도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 특허만료를 앞두고 바이오시밀러의 3상 혹은 마무리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들 제약사가 개발 역량과 정부 지원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어떤 열매를 맺게될지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