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대한암학회, 기자간담회서 연구자 주도 활성화 위한 지원 필요성 언급

서울대병원 김태용 교수(혈액종양내과)는 15일 롯데호텔서울에서 열린 대한암학회 암연구동향 보고서 2023 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연구자 주도 암 임상연구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재정적, 정책적 지원이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대병원 김태용 교수(혈액종양내과)는 15일 롯데호텔서울에서 열린 대한암학회 암연구동향 보고서 2023 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연구자 주도 암 임상연구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재정적, 정책적 지원이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한국의 암 임상연구 역량이 세계적인 수준에 이른 만큼, 연구자 주도 항암제 임상시험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제정적 지원이 더해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암학회는 15일 롯데호텔서울에서 '암 연구동향 보고서 2023' 발간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주장했다.

학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암 발생자 수는 24만 7952명으로, 2000년 14만 4896명 대비 증가했다. 아울러 암 경험자 수도 2020년 기준 약 228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4.4%에 달한다. 이 중 65세 이상 고령층은 13.4%를 차지했다.

이처럼 암 발생률은 늘고 있지만,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감소하고 암 상대생존율은 높아지고 있다.

국내 암 사망률은 2001년 대비 2021년 37.4%p 감소했고, 암 상대생존율은 2000년 46.5%에서 2016년 70.7%로 24.2%p 향상됐다.

이처럼 암 상대생존율이 향상된 된 계기는 세계적 수준의 국내 의료진의 암 임상연구 역량 덕분이다.

한국은 2020년 이후 미국, 중국, 프랑스 등에 이어 글로벌 8위 임상시험 수행 국가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암종별로 보면 위암, 간암 연구는 세계 3위에, 폐암과 유방암은 10위권에 랭크돼 있다.

국내 항암제 임상시험 승인은 2018년 247건에서 2021년 321건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에는 259건으로 소폭 감소했다.

암종별로 보면 폐암이 16.3%로 가장 많았고, 림프종 7.4%, 유방암 6.6% 순이었다.

 

의뢰자 주도 연구↑, 연구자 주도 연구↓

정부 지원 필요성 커져

국내 의뢰자 주도 암 임상연구는 2018년 202건에서 2021년 247건으로 22.2% 증가했다. 2022년에 승인된 의뢰자 주도 암 임상연구는 165건으로, 전체 암 임상시험 대비 63.5%에 달했다.

이는 미국의 10~20%에 불과하지만, 영국과 비교하면 80~90% 수준이다.

서울대병원 김태용 교수(혈액종양내과)는 "의뢰자 주도 암 임상연구는 다국적 제약사의 의뢰로 시행되는 점을 고려하면, 이 같은 연구 승인 건수 증가는 국내 암 연구자의 역량이 세계적 수준까지 올라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말했다.

그러나 연구자 주도 암 임상연구는 최근 5년 동안 감소하는 추세다. 실제 연구자 주도 암 임상연구 승인 건수는 평균 112건에 불과하다.

연구자 주도 암 임상시험은 여러 이유로 제약사가 시행하기 어려운, 미충족 수요가 높은 분야의 답을 제시하지만, 정책적·재정적 지원이 부족해 활성화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학회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정부 연구개발 사업 예산의 14%인 69억달러가 암 분야 연구개발비로 투입되고 있다.

암 분야 정부 연구개발사업은 국립암연구소가 전담해 수행하고 있다. 국립암연구소는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원 산하기관이지만 비교적 독립적으로 백악관과 소통하면서 정부의 암 연구개발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연구개발 의사결정 과정이 전문기관 또는 국립암센터 등 출연기관으로부터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소관부처, 그리고 심의부처를 거쳐 기획재정부까지 이르러야 최종안이 확정된다. 게다가 이를 다시 국회에서 심의하는 과정을 거친다.

현장의 암 연구자들과 정부가 추구하는 암 연구방향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고 빠르게 변하는 암연구 생태계에 즉각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수준과 암 연구 역량을 갖고 있지만 아직도 암으로 인해 국민이 고통받고 있고, 많은 미충족 수요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암 연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자 주도 암 임상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재정적 개선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연구진과 기초의학 수준, 암 사망률과 상대생존율 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