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혜영 의원, 21일 전국 256개 센터 현황 분석 발표
센터별 협약병원, 서울은 센터 1곳당 평균 8.4곳…강원은 1.6곳
“지역별 편차 해소 위한 지침개정 등 개선 방안 필요”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지자체 간 치매안심센터의 인적‧물적 자원 편차가 심각해 지역별 대응 역량에 차이가 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은 지난 21일 전국 256개 센터 현황을 분석해 발표했다.

중앙치매센터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 60세 이상 치매환자인구는 102만 4925명이다.

이 가운데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진단 및 지원 연계, 치매예방사업 등을 하는 기관으로, 전국 256개 기초 지자체에서 운영되고 있다. 2022년 기준 전국 430만여 명이 대상자로 등록돼 있고, 이 중 53만여 명이 등록 치매 환자로 분류돼 관리를 받고 있다.

하지만 치매안심센터 운영 실적이 제각각인 탓에 치매 관리 능력에도 지역 간 격차가 발생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치매안심센터의 업무 한계를 지원하기 위해 지정된 협약병원은 서울의 경우 센터 1곳당 협약병원이 평균 8.4곳으로 집계돼 전국 최고 수준이었지만, 반면 강원의 경우 1.6곳으로 최저를 기록했다. 관련 인프라가 부족한 곳에서는 검사나 관리 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인력 운용도 상황은 비슷하다. 보건복지부 치매사업 운영기준에 따라 센터별로 간호사, 사회복지사(1급), 작업치료사, 임상심리사 등 직역별 1명 이상을 둬야 한다. 하지만 특정 직역을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미채용센터가 전국 191곳에 이른다.

센터별 업무량 역시 천차만별이었다. 전국 치매안심센터의 평균 1인당 사례관리자 현황은 57명 수준이었으나, 개별 센터에 따라 종사자 1인이 최대 558명까지 맡은 곳도 있었다.

이와 관련해 최 의원은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치매 환자 역시 동반 상승하고 있음에도 어디 사는지에 따라 질병의 조기발견과 지원역량에 차이가 나는 것은 문제”라면서 “정부는 지역별‧직역별 편차 해소를 위한 인력수급 계획 및 운영지침 수정 등 적극적인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