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 대담: 분당21세기내과의원 김한수 원장, 연세우리내과의원 윤상현 원장]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2000년 한국 의료의 틀을 완전히 뒤바꾼 의약분업 당시 개원한 21년차 시니어 개원의와 코로나19(COVID-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이 시작되는 올해 개원한 주니어 개원의 각자가 느끼는 개원 당시 현실 체감은 어떨까?

“라떼는 말이야~, 그 당시 개원의 생활이 더 힘들었어”, “아닙니다. 모든 의료제도가 의사들을 옥죄고 있는 지금이 더 힘듭니다.” 
꼰대세대와 MZ세대는 서로를 이해하기보다 경원시하거나, 소통이 되지 않는 상대로만 여기고 있다.

개원 21년차 시니어 개원의와 6개월차 주니어 개원의는 세대 간 어떤 생각 차이를 보일까? 혹은 서로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은 있을까?

본지는 창간 22주년을 맞아 몇 가지 키워드를 통해 시니어 개원의와 주니어 개원의 간 인식 차이점과 공통점을 대담형식으로 들어봤다. 대담에는 시니어 개원의 대표로 개원 21년차를 맞은 분당21세기 내과의원 김한수 원장이, 주니어 개원의 대표로 개원 6개월 차에 접어든 연세우리내과의원 윤상현 원장이 참여했다.

김한수 원장은 연세의대를 졸업하고 아주대의대 순환기내과 교수, 경기도 내과의사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 대한임상순환기학회 회장과 대한노인의학회 부회장, 대한임상초음파학회 부회장으로서 활동하고 있다.

윤상현 원장은 연세의대를 졸업하고, 대한검진의학회 학술이사를 역임했으며, 은평연세병원 진료과장, 정내과 부원장을 지냈다. 

1. 의사의 상징 청진기, 어쩌다 성추행 도구로? 
2. 낭만닥터 김사부와 내과 박원장 중 내 모습은 어디쯤?

의사들을 옥죄는 정책들, 나에게는?

분당21세기내과의원 김한수 원장 
분당21세기내과의원 김한수 원장 

김한수 원장과 윤상현 원장은 21년의 세월 차이를 두고 개원을 했다. 그들이 개원할 당시 상황은 어땠을까?

두 개원의는 이구동성으로 개원 환경이 좋지 않았다고 말한다. 21년 전 개원할 당시는 의약분업으로, 현재는 의사들을 옥죄는 의료정책과 규제들로 경영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이다.

김: 개원할 당시 의약분업 직후로 의료계가 매우 혼란스러웠다. 개원 상황도 좋지 않았다. 하지만 21년이 지난 지금 되돌아 보면 경영 상황이 좋았던 적은 별로 없었던 같다.

선배들 얘기를 들어봐도 항상 좋지 못했다. 지나고 보니 ‘그 때가 좋았던 시기구나’라고 생각한다. 현재 의료계가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보면 의대를 가려는 학생이 많다. 의사라는 직종이 여전히 사회적으로 존경받고 성공할 수 있는 분야로 여겨진다. 상황이 좋지 않지만 꼭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는 것 같다. 

현재를 충실히 살아야 한다. 지금 좋지 않을지라도 계속 힘들지 않을 것이다. 지나보면 좋아지는 것도 있다.

윤: 개원을 결심할 때 코로나19가 발생했다. 개원을 위해 장소를 물색하는데 부동산 상황이 좋지 않았다. 월세가 매우 비쌌다. 사회적으로도 의대정원 증원, 의사면허 박탈법, 비대면 진료, 비급여 보고제도 등 의사들이 진료활동을 하는데 어려움이 많다는 얘기를 많이 듣고 있다. 선배, 후배 대부분이 개원 경영 여건이 좋지 않다고 한다. 

의약분업을 비롯한 각종 의료규제로 인해 경영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이다. 개원가 폐업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두 개원의가 개원을 결심한 이유는 뭘까?

윤: 봉직의로서 6년간 근무했다.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봉직의 근무를 더하게 됐다. 병원에 근무하면서 병원의 소모품이 돼가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주도적으로 일을 할 수 없어 일에 대한 흥미가 떨어졌다. 그래서 개원을 생각하게 됐다. 개원할 당시 숭고한 목표가 있지는 않았다. 

다만, 그동안 배우고 공부했는데, 소모품으로서 일상을 살다 보니 환자 보는 시간도 줄어 힘들었다. 단순한 검사만 하고, 환자와 함께 호흡하는 것도 쉽지 않아 삶이 건조했다. 

선배들이 하루라도 빨리 개원하는 것이 좋다는 조언을 해줬다. 왜냐하면 의료계 상황이 항상 좋지 않으니까. 지금 생각하면 코로나19 당시에 개원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도 하고 있다.

김: 21년 전 개원할 당시 개원가의 품질을 높여보겠다는 생각을 가졌다. 아주의대 교수로 근무하면서 공부하고 연구했던 부분을 개원의로서 환자들에게 전달하고 싶었다. 그리고 교수라는 입장으로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 개원하면 자율적이고 융통성 있게 진료 시간을 조절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지금 생각하면 개원하지 않았다면 후회했을 것 같다. 요즘은 대학에서 근무하고 정년이 얼마 남지 않은 친구들이 개원을 위한 조언을 구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일찍 개원을 시도하는 것도 좋다. 실패해도 새로운 인생 방향을 찾을 수 있다.

 

낭만닥터 김사부와 내과 박원장 중  내 모습은 어디쯤?

환자를 살리기 위한 사명감이 충만한 이상적인 의사상을 보여준 ‘낭만닥터 김사부’와 개원의의 현실을 보여준 ‘내과 박원장’, 두 드라마에 대해 두 개원의는 어떤 느낌을 받았을까?

연세우리내과의원 윤상현 원장
연세우리내과의원 윤상현 원장

윤: ‘내과 박원장’은 웹툰 당시부터 구독했지만, 몇 편 보다 너무 슬퍼 보지않게 됐다. 개원가의 현실을 너무 잘 나타냈다. 의사들이 갖고 있는 생각, 힘든 점, 그리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과 어려운 점을 현실적으로 보여줬다. 의사가 아닌 다른 지인들은 안 믿을 수 있겠다는 생각까지 들었다. 

‘낭만닥터 김사부’는 그냥 소설이다. 픽션과 논픽션의 차이다. 소설 주인공은 당연히 정의롭게 묘사된다. 그런 소설을 보면서 국민들은 이미지화된 의사를 원하게 된다. 하지만 현실은 그런 이미지가 쉽지 않다. 물론 ‘닥터 김사부’ 같은 의사가 분명히 있을 것이다. 다만, 모든 의사가 ‘닥터 김사부’와 같을 수 없다.

김: 젊은 의사 시절에는 ‘닥터 김사부’같은 사명감을 갖고 있었다. 지금은 꼭 그런 사명감으로 의업을 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 환자를 꼭 살려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의업을 유지하는 것은 이상적이지만, 의사 개인으로서는 희생이 너무 크다. 

아주의대 교수 시절 이국종 교수를 지켜본 바 있다. 그 친구는 병원에서 거의 매일을 자고 닥터헬기를 탈 준비를 하면서 생활했다. 외부에서 보기에는 멋졌지만, 이 교수도 한 가정의 남편이고 아버지로서 역할이 있는데 개인에겐 무리한 요구일 수 있다.

결국 사명감만으로 의업은 지속가능하지 않다. 이 교수도 그런 점을 힘들어 했다. ‘닥터 김사부’는 이상적인 의사의 모습일지 몰라도 현실 의사들에게 이러한 모습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 

개원의로 실패하지 않으려면

선배 개원의로서 후배 개원의에게 실패하지 않는 방법으로 김한수 원장은 ‘왜 내가 의사를 하고 있는지 계속해서 질문할 것’을 조언했다. 특히 개원했다고 학문적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분당21세기의원 김한수 원장.
분당21세기의원 김한수 원장.

김: 왜 의사를 하고 있는지 스스로에게 계속 질문할 필요가 있다. 의료는 테크닉으로 접근하면 실증이 나고, 한계를 느끼게 된다. 특히 일차의료는 질환이 아닌 사람을 봐야 한다. 

보통 개원하면 학문과 담을 쌓는 경우가 있다. 지속적으로 관련 학회에 참여해 새로운 지식과 최신 지견을 익혀야 한다. 또 선배와 후배 간 연대를 이뤄야 한다. 연대를 통해 혼자만의 생각에서 벗어나야 실패하지 않는다.

후배 개원의는 선배 개원의들에게 무엇을 바라고 있을까? 초보 개원의로서 궁금한 점, 경영에 필요한 팁 등을 선배들에게 배우고 싶지만 쉽지 않다. 그래서 선배들이 꼰대가 아닌 의사 선배로서 따뜻하게 반겨주기를 희망했다.

윤: 개원하면 기댈 곳이 필요하다. 저는 주로 대학선배들에게 조언을 구하고 있다. 대학선배들 모임에 자주 참여하려고 한다. 개원이라는 것이 교과서에 나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팁과 경험담을 듣고 싶다.

나는 운이 좋아 김한수 원장님을 비롯한 선배들이 도움을 주셨다. 사실 후배들은 선배들을 만나는 것이 어렵다. 조언을 구하는 것도 쉽지 않다. 개원 선배들이 후배 초보 개원의들을 먼저 따뜻하게 맞아줬으면 좋겠다.

베이비부머 세대와 MZ 세대의 소통은?

베이비부머 세대인 김한수 원장과 MZ세대인 윤상현 원장은 서로에게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을까?

초보 개원의인 윤상현 원장은 선배 의사들이 젊은 의사들보다 사명감과 환자에 대한 마음이 더 큰 것 같다고 평가했다. 베테랑 개원의인 김한수 원장은 후배 개원의들이 더 추진력이 강하고, 초심으로 돌아가게 하는 계기를 제공해 준다고 했다.

윤: 젊은 세대 의사들보다 선배 의사들의 사명감과 의사로서 환자를 위하는 마음이 더 큰 것 같다. 김 원장님이 지속적인 학문연구 필요성을 강조하셨는데, 그 부분에 공감한다. 

최신 업데이트된 의학 정보와 지식이 있어야 더 좋은 진료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렇게 되면 부수적으로 환자들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하지만 젊은 세대 의사들은 경제적인 면을 많이 고려하고 개원하고 있다. 김한수 원장님과 대화하면서 많은 것을 배우고, 새로운 시각을 갖게됐다.

김: 후배인 윤상현 원장과 대화하면서 처음 개원했을 때 초심을 돌아볼 수 있었다. 21년 동안 개원의로 활동하면서 퇴색했던 열정과 추진력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다. 

선배로서 부끄럽지 않은 개원의가 되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지금 초보 개원의지만 향후에는 선배들을 대신할 주역으로서 활동을 기대하게 만든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