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불안장애 환자, 퇴원 후 한달 내 자살률 감소
우울증 환자는 자살률 높아 정책적 노력 필요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심평원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신질환 퇴원 환자의 자살률 추세 연구 결과를 정동장애저널에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0~2018년에 정신질환으로 입원한 15세 이상 환자 157만명을 대상으로 퇴원 후 30일 내 자살률을 비교, 분석했다.

정신질환별로 자살률을 산출해 시계열적 변화를 파악하고, 표준화 사망비(Standardized Mortality Ratio)를 산출해 정신질환자와 일반 인구집단 간 자살률을 비교했다.

2018년 정신질환 입원 치료를 받고 퇴원한 환자 중 30일 내에 자살한 환자 수는 퇴원 환자 100,000명 당 198.1명으로, 2010년(206.6명) 이후 연간 퍼센트 변화율은 1.2% 감소했으나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질환별로는 우울증 환자의 퇴원 후 30일 내 자살률이 퇴원 환자 100,000명 당 364.4명으로, 정신질환 중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조현병(167.8명), 양극성정동장애(158.0명) 순이었다.

특히 2010~2018년 조현병과 불안장애로 치료받은 환자의 퇴원 후 30일 내 자살률의 연간 퍼센트 변화율은 평균적으로 각각 3.2%, 6.5%로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정신질환 퇴원 후 30일 내 자살률(연령-성별 표준화) 변화
정신질환 퇴원 후 30일 내 자살률(연령-성별 표준화) 변화

2016~2018년 정신질환 입원치료를 받고 퇴원한 후 30일 내에 자살한 환자 수는 일반 인구집단에서 자살한 사람의 66.8배였다. 74.9배였던 2010~2012년에 비하면 감소한 수치다.
 
연령 그룹 중에서 20-39세 환자의 표준화 사망비는 114.9로 가장 높았고, 80세 이상 환자는 27.3으로 가장 낮았다.

여성 환자의 표준화 사망비는 107.5로, 남성(54.0)보다 약 2배 높았고, 우울증(122.7) 환자가 다른 정신질환자에 비해 표준화 사망비가 높았다.

정신질환 퇴원 30일 내 자살률에 대한 표준화 사망비
정신질환 퇴원 30일 내 자살률에 대한 표준화 사망비

연구팀 교신저자인 국제정책연구부 김경훈 부장은 “정신질환자가 퇴원 후 조기에 외래 진료를 받거나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관리 받을 수 있도록 철저한 퇴원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심평원 이진용 심사평가연구소장은 “약 10년 동안 조현병과 불안장애 치료받고 퇴원한 환자의 30일 자살률은 유의미하게 감소했지만, 우울증은 그렇지 않아 자살률 감소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