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박철영 교수

강북삼성병원 박철영 교수(내분비내과)는 연속혈당측정기(CGM)는 2형 당뇨병 환자 혈당 관리에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북삼성병원 박철영 교수(내분비내과)는 연속혈당측정기(CGM)는 2형 당뇨병 환자 혈당 관리에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시시각각 변하는 혈당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 자체로도 혈당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2형 당뇨병 환자들은 혈당 수치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이뤄지지 않아 되레 정보의 홍수 속에서 갈팡질팡하는 경우가 생긴다.

혈당값에 따른 정확한 처방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결국 환자는 줄어들 수 없다. 이런 가운데 2형 당뇨병 관리 패러다임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연속혈당측정기(CGM)가 혈당 조절의 네비게이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강북삼성병원 박철영 교수(내분비내과)는 본지와 만난 자리에서 CGM은 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를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혈당이 높으면서 조절이 안 되는 환자일수록 도움은 클 것이라고 말했다.

- 최근 2형 당뇨병 환자 대상 CGM의 효과를 알아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형 당뇨병은 1형 당뇨병에 비해 환자의 인슐린 주입 필요성이 낮고 위험도가 떨어지다 보니 CGM 적용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현재의 가이드라인은 인슐린을 맞는 환자는 CGM을 꾸준히 쓰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2형 당뇨병 환자에게 맞는 방법으로 CGM을 권고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어떤 주기로, 얼마나 자주 사용하면 좋을지 면밀하게 연구하기 위해 메드트로닉에 제안해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를 시작하게 됐다.

CGM을 사용하면서 혈당 값을 모니터링하면 혈당 조절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의료진은 환자에게 보다 세밀하게 처방과 지침을 줄 수 있다. 이는 과거에 막연하게 이뤄졌던 환자 교육을 세분화하고 자세하게 할 수 있게 만든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라 의미는 더 크다고 생각한다.

- 연구 과정에서 어려움은 없었나.

연구에 참여할 외래환자를 설득하는 게 가장 힘들었다. 환자들은 보통 3개월에 한 번 의료기관을 방문한다. 방문 당시 CGM을 이용해 혈당 관리를 해보겠다고 이야기하고 돌아가지만, 정작 관리가 잘 되는 환자는 거의 없다.

새로운 시도라는 게 모두에게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의지를 갖고 관리에 임한 환자들은 그 혜택을 확실하게 체감하는 것 같다.

- 대한당뇨병학회에서는 다회인슐린조사요법 환자에게 CGM 사용을 권고했다. 다만, 다른 형태의 치료를 받는 환자는 '주기적'이라는 단서를 달았다.

비용 효과성 때문이다. 특히 가이드라인 변경은 근거가 핵심이다. 아직까지 2형 당뇨병 환자 모두에게 CGM이 필요하다는 근거가 충분하게 마련되지 않아 다회인슐린요법을 받지 않는 환자는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이는 CGM이 꼭 필요한 환자군을 찾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CGM 권고 대상은 1형 당뇨병 환자, 임신성 당뇨병 환자, 다회인슐린요법을 받는 환자로 확대됐다. 다만, 현재 이 분야는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 2형 당뇨병 환자 중 CGM이 꼭 필요한 환자군이 있나.

혈당이 높으면서 조절이 안 되는 환자일수록 CGM의 효과는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전제조건은 환자가 혈당을 관리하고자 하는 '의지' 여부다. 동기부여가 없다면 효과는 없다. 의료진의 의지가 강력해도 환자의 의지가 없다면 소용이 없다는 것이다.

실제 현장에서는 환자들에게 인슐린 요법을 받을지 CGM을 착용할지 물어보면 다들 후자를 선택한다. 그런데 환자들은 CGM이라는 의료기기가 모든 관리를 다 해주길 바란다는 점은 한계다. 또 CGM의 가격적 측면, 환자가 몸에 착용하고 있어야 한다는 부담감도 있다.

- 경제적 문제, 어떻게 풀어야 하나.

한국에서는 1형 당뇨병 환자만을 대상으로 CGM을 지원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처방받는 환자 혹은 인슐린 투여 환자 등을 대상으로 삼는 방법이다.

다만, 이를 위해 비용효과성에 대한 근거가 더 많이 필요하다. 업계에서도 시장 확대를 위해 비용효과성을 입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 CGM을 지원받는 1형 당뇨병 환자에 대한 교육을 건강보험에서 지원해주는 것도 필요하다.

- 진행 중이거나 계획 중인 연구가 있는지 궁금하다.

임신성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CGM을 이용한 혈당 관리의 효과를 연구 중이다.

임신성 당뇨병 환자 중 CGM 사용군과 미사용군으로 나눠 CGM 사용 후 적정 혈당 범위로 되돌아오는지, 출산 후 혈당이 정상 범위로 돌아오는지, 아이들은 괜찮은지, 출산 후 합병증은 없는지 등을 평가하고 있다.

2형 당뇨병 환자의 CGM 가이드가 없기에 일단 다양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어떻게 사용했을 때 효과를 볼 수 있는지, 어떤 교육이 이뤄져야 하는지 보는 것이다.

사실 전 세계적으로 CGM을 이용한 혈당 관리 연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열린 유럽당뇨병학회(EASD)에 방문했는데 부스 절반이 CGM이었을 정도다.

한국은 2형 당뇨병 환자가 많은 국가 중 하나로, 젊은 2형 당뇨병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를 고려하면 앞으로 한국에서 비만환자, 당뇨병 환자는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앞으로 CGM은 이들의 혈당 관리를 돕는 도구로 자리잡게 될 것으로 전망한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