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 전문의 즉각 개입 가능한 여건과 환경조성 필요
의협 의정연, 국민정신건강 관리모형 연구보고서 발간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일반건강검진을 통해 직장인 중 정신건강 고위험군에 대한 조기 선별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무엇보다 정신건강 전문의가 즉시 개입 가능한 여건과 환경조성이 필요해 보인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는 '국민정신건강 관리모형-직장인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연구보고서는 국내 근로자의 정신건강과 관련한 정신건강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근로자의 정신건강 관리모형을 도출했다.

이번 연구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강북삼성병원 직장건강연구소 정신건강상태 프로그램에 참가한 52개 기업과 정부기관 소속 20~65세 1만 5199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정신건강상태를 분석했다.

주요 조사항목으로는 사회인구학적 요인, 근로시간,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우울증상, 음주척도의 전체점수, 의존/문제행동, 음주의 양과 빈도 등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울증상군은 대조군에 비해 연령이 낮고, 여성이면서 저학력이고, 직급이 낮으며 주 40시간 이상 근무하는 비율이 높았다.

근로자의 자살생각과 근무시간을 구분해 분석한 결과 남성 근로자에서 자살생각이 있는 군이 없는 군보다 근무시간이 긴 것을 확인했다.

우울증상 없는 군, 우울증상은 있으나 자살생각이 없는 군, 우울증상이 있고 자살생각도 있는 군으로 구분해 알코올 사용 형태를 비교한 결과, 음주척도의 전체점수와 양/빈도는 임상적 우울증상 유무, 자살생각 유무에서 모두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반면, 음주의 의존/문제행동은 세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력이 없는 군, 자살생각은 있으나 자살시도력은 없는 군, 자살생각이 있고 자살시도력도 있는 군으로 구분해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알코올 사용행태를 분석한 결과 음주척도의 전체점수, 의존/문제행동, 양/빈도는 그룹 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살 위험도가 증가함에 따라 음주척도 점수도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근로자 정신건강관리를 위한 모델을 2가지 차원에서 제안했다.

근로자 정신건강 조기 선별을 위해 일반 건강검진에 정신건강검사를 포함한 결과, 우울장애 뿐만 아니라 불안장애 및 알코올 사용 장애 등까지 검사 영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전문가를 통한 치료 연계를 강화할 것을 주장했다.

또 정신건강문제 조기개입 강화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 검진 및 상담 희망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F코드(정신질환) 대신 Z코드(일반상담)로 검진 및 상담 진행이 가능하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검진기관에 연계율에 따른 차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동기유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제시했다.

의정연 우봉식 소장은 "국내 근로자들은 높은 업무강도와 무한경쟁 등으로 항시 정신건강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근로자 개인과 기업은 물론 가족과 사회적 차원에서도 큰 손실이다. 정신건강 고위험 근로자를 조기 선별하고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