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정대철 교수팀, 자가면역질환 산모 신생아 7년간 추적관찰
저체중·저신장·미숙아·자가면역항체 양성→2년 내 정상화

▲(좌부터)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정대철, 심수연 교수.
▲(좌부터)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정대철, 심수연 교수.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자가면역질환 산모가 출산한 신생아는 저신장, 저체중, 미숙아로 태어나는 경우가 많지만, 2년 안에 건강한 신생아의 성장을 따라잡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산모의 자가 항체는 아이의 성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정대철(교신저자)·심수연(제1저자) 교수팀은 자가면역질환으로 진단받은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이 142명과 특이 질환으로 진단받지 않은 산모에게서 태어난 영아 149명을 대상으로 2010~2017년 성장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산모는 전신홍반 루푸스(81%), 쇼그렌 증후군(6%), 기타 자가면역 현상(11%) 등 자가면역질환을 진단받았다.

조사 결과 일반 산모와 자가면역 류마티스질환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분만 시기, 유산, 조산아 분만력, 출산력에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자가면역질환 산모가 출산한 신생아는 미숙아, 저체중, 저신장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 직후 신생아 건강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아프가 점수(Apgar score)'와 분만 방법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어 자가면역 류마티스질환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들을 출생 시, 출생 후 2, 5, 8, 12, 24개월에 신체 계측을 측정하고 한국 정상 영아 인구와 비교평가(z-score)했다.

그 결과, 출생 시는 신장과 체중 모두 작게 측정됐지만 출생 후 2년에는 따라잡기 성장을 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 자가면역 류마티스질환 산모가 출산한 아기 중 약 반수가 자가면역항체 양성으로 확인됐지만 2년 동안 추적하면서 대부분 검사결과가 정상화됐다. 또 출생 후 2년 동안 추적한 결과 빈혈과 같은 혈액학적 증상, 선천성 심장차단 등 신생아 합병증 보고는 없었다.

정대철 교수는 "자가면역 류마티스질환 임산부가 신장과 체중이 작은 아이나 미숙아를 출산하고, 특히 자가면역 항체가 아이에게 발견되더라도 2년 후 평균을 따라잡고 대부분 정상화됐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가 임신을 계획하는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Pediatric Rheumatology 2월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