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은지 교수 연구팀 정책제언
신규 발생 환자의 35%는 비급여 주사치료 처방 추정

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은지 교수
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은지 교수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나이 관련 황반변성은 선진국에서 60세 이상 인구 실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질환이다.

나이 관련 황반변성은 고가의 안구내 주사치료를 반복적으로 받아야 해 정책적 지원 없이는 환자 개인적으로 치료를 지속하기에 경제적 부담이 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은지 교수(안과)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산정특례 코드(V201)를 부여받은 환자(만 40세 미만 제외)를 대상으로 환자 현황 및 주사제 이용, 급여 확대에 따른 치료행태 변화 등을 연구하고 정책제언을 발표했다.

연구 결과 40세 이상 인구에서 나이 관련 황반변성의 유병률은 2010년 1만명당 39.3에서 2019년 50.8로 꾸준히 증가했다. 

연령군별로 90세 이상에서 1만명당 264.38로 가장 높았고 이후 연령이 감소할수록 유병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연령에서 여성보다 남성의 유병률이 높았다.

보험 급여 정책은 주로 주사의 급여 횟수를 제한하는 것으로 조정돼 왔다.

급여 횟수를 5회에서 현재 무제한(시력 기준 추가)으로 확대 시행될 때마다 총 주사 횟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주사 맞은 횟수의 분포 역시 환자가 진단된 연도에 따라 급여 횟수의 상한선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연구진은 "정책이 확대되면서 주사치료가 계속 필요한 황반변성 환자들이 보험 급여 혜택을 더 받게 되는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반면 신규 발생 환자에서 보험 급여로 루센티스 또는 아일리아 주사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비율 및 사용한 주사제의 종류를 확인했을 때, 2010년에서 2019년까지 주사치료 시행 비율은 약 65%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보험 급여로 주사치료를 받지 않은 나머지 35%의 대부분은 비급여인 아바스틴으로 치료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보험 급여 주사 횟수는 점진적으로 확대됐으나 급여 적응증이 황반하 신생혈관을 가진 경우와 최대 교정시력이 0.2 이상일 때로 제한돼 치료가 필요한 환자인데도 부득이하게 비급여 주사를 맞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황반을 포함하지 않는 신생혈관을 가진 황반변성의 경우 치료 여부에 따라 시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더 높은 만큼 급여대상에 '황반곁에 신생혈관을 가진 경우'를 포함하는 등 적응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또한 "치료제가 고가이고 반복 주사를 시행하는 만큼 의료비용 증가가 문제될 수 있다"며 "특허 만료가 임박한 치료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약제 개발 및 사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면 의료비 절감과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 안구내 주사의 안내염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안구내 주사 시행 후 급성안내염의 평균 발생률은 0.0194%로, 연도에 따른 특별한 변화 없이 유사한 발생률을 보였으며 주사제 종류별로는 루센티스에서 0.014%, 아일리아에서 0.0254%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