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비만학회 진료지침위원회, 올해 하반기 개정판 발간 준비 중
비만 진단·체중감량 후 유지·정신질환 동반 환자에서의 비만 등 항목 신설
만성질환 위험 예방 위해 'BMI 25kg/㎡ 이상' 기준으로 제시

▲대한비만학회 진료지침위원회는 11~12일 온·오프라인으로 열린 춘계학술대회에서 올해 하반기에 발간 예정인 '비만 진료지침 개정8판'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고대 안암병원 김양현 교수가 '비만의 진단'을 주제로 발표했다. 학술대회 강연 화면 캡처.
▲대한비만학회 진료지침위원회는 11~12일 온·오프라인으로 열린 춘계학술대회에서 올해 하반기에 발간 예정인 '비만 진료지침 개정8판'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고대 안암병원 김양현 교수가 '비만의 진단'을 주제로 발표했다. 학술대회 강연 화면 캡처.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대한비만학회가 2020년에 이어 올해 하반기에 '비만 진료지침 개정8판'을 발간할 예정인 가운데 주목해야 할 권고안을 선공개했다.

개정판에서는 △비만의 진단 △체중감량 후 유지 △정신질환을 동반한 비만환자 △여성비만 △비만에 대한 정보통신기술 기반 중재의 효과 등 항목이 신설된다. 

대한비만학회 진료지침위원회는 11~12일 온·오프라인으로 열린 춘계학술대회에서 신설된 항목 중 △비만의 진단 △체중감량 후 유지 △정신질환을 동반한 비만환자 등에 대한 권고안을 공개했다.

[비만 진료지침①] 논란의 비만 기준, 'BMI 25kg/㎡ 이상' 타당하다

[비만 진료지침②] 동반질환 예방 위해 '1년 이상' 체중감량 유지해야

[비만 진료지침③] 항정신병약물 복용 환자, 비만 선별검사 권고

비만 기준 'BMI 25kg/㎡ 이상' 유지

논란이 됐던 비만 기준은 2020년 비만 진료지침의 권고안과 동일하다.

2020년 비만 진료지침에서는 체질량지수(BMI) △23~24.9kg/㎡를 비만 전단계 △25~29.9kg/㎡를 1단계 비만 △30~34.9kg/㎡를 2단계 비만 △35kg/㎡ 이상을 3단계 비만으로 정의했다. 허리둘레는 남성 90cm, 여성 85cm 기준을 사용했다.

진료지침위원회는 BMI 25kg/㎡ 이상이 만성질환 위험을 예방한다는 측면에서 비만 기준으로 타당하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 등 서양은 사망 위험을 고려해 BMI 30kg/㎡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하고 있어 국내 기준이 엄격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비만 기준은 질병 발생과 사망 위험 중 무엇을 아웃컴으로 설정해 판단해야 할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망보단 동반질환 발생에 무게를 두고 비만 기준을 결정했다. BMI에 따른 사망 위험은 여러 가지 교란요인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동반질환을 기준으로 비만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판단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 중 하나가 The Global BMI Mortality Collaboration이 국내 연구 네 가지를 포함해 239개 전향적 연구들을 메타분석한 연구다.

분석 결과, 동아시아인은 25kg/㎡ 이상부터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다(Lancet 2016;388:776~786). 

연령에 따라서는 나이가 어릴수록 BMI와 사망 위험간 선형관계가 강하게 나타났고 고령일수록 연관성이 약해졌다. 고령에서는 여러 가지 교란요인으로 인해 비만과 사망 위험간 연관성이 약화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 국내 남성 및 여성을 대상으로 흡연 여부에 따른 BMI와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흡연 남성은 BMI 25kg/㎡ 이상부터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낮아졌지만 비흡연 남성과 비흡연 여성은 25kg/㎡ 이상부터 높아졌다. 이 같은 연관성은 연령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NEJM 2006; 355:779~787).

동반질환 발생 위험은 BMI가 높아질수록 증가한다고 보고된다. 2009~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 분석 결과, BMI가 높아질수록 2형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발생률이 선형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4년 추적관찰 동안 BMI 21~22kg/㎡와 비교해 22kg/㎡ 이상일수록 2형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발생 위험이 증가했다.

고대 안암병원 김양현 교수(가정의학과)는 "비만과 사망 위험의 관계는 질병상태, 흡연, 연령 등 교란요인이 많아 논란이 있다"며 "질병 예방을 고려하면 BMI가 높아질수록 동반질환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는 점에서, 여러 가지 교란요인의 영향을 받는 사망 위험보단 동반질환을 기준으로 비만 기준과 단계를 나누는 것이 적합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DEXA를 통해 BMI와 체지방량의 정확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것이 건강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더해진다면, 우리나라 비만 기준 설정을 위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만 기준 달라져도 유병률 줄어들지 않아"

비만 기준은 아시아에서도 국가마다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비만 기준이 국가 간 다를지라도 유병률은 감소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우리나라와 다른 기준을 제시하는 대표적 아시아 국가가 중국이다. 중국은 사망 위험 등 여러 지표를 고려해 과체중을 24kg/㎡ 이상, 비만을 28kg/㎡ 이상으로 정했다. 

그럼에도 중국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5~2019년 중국 18세 이상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34.3%, 과체중은 16.4%로 조사됐다. 1992년과 비교해 2.5배가량 증가한 수치다(Lancet Diabetes Endocrinol 2021;9:373~392). 

김양현 교수는 "중국 사례와 같이 비만 기준이 달라지더라도 비만 유병률은 줄어들지 않는다"면서 "비만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원인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가천대 길병원 김경곤 교수(가정의학과)는 "중국은 세계보건기구(WHO) 또는 다른 아시아 국가와 다른 독자적 비만 기준을 사용하고 있지만 동반질환 유병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며 "비만 진단의 목적이 치료인지 또는 질환 예방인지 정해야 한다. 비만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명확한 진단 목적을 진료지침에 기술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