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강형진·홍경택 교수팀, 반일치 이식 vs 비혈연 이식 치료 성적 비교
반일치 이식군 생존율·합병증 발생률, 비혈연 이식군과 차이 없어

▲(좌부터)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강형진, 홍경택 교수.
▲(좌부터)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강형진, 홍경택 교수.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조혈모세포 이식이 필요한 소아청소년 급성백혈병 환자가 가족에게 조직적합성항원이 절반만 일치하는 반(半)일치 공여자 이식을 받아도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하는 비혈연 공여자 이식과 치료 결과가 대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동안 적절한 비혈연 공여자를 찾지 못해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을 수 없었던 많은 환자에게 반일치 이식이 새로운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강형진·홍경택 교수팀은 개인별 적정 용량의 항암제(부설판) 투여와 이식 후 이식편대숙주병 예방치료를 받은 반일치 공여자 이식 및 비혈연 공여자 이식 간 치료 성적을 비교·분석했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고위험 급성백혈병 환자에게 필수 치료다. 하지만 공여자와 이식자 간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하는 형제 또는 비혈연 공여자에게 이식받는 경우에만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계점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저출산의 영향으로 인해 형제 공여자를 찾기가 어려워졌고, 형제라도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할 확률은 25%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형제가 없거나 일치하지 않을 경우 조혈모세포은행을 통해 적절한 비혈연 공여자를 찾아야 한다. 하지만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하는 비혈연 공여자를 찾을 확률도 약 50%로 낮다. 제대혈 이식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골수 생착이 늦고 감염 합병증이 많아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반일치 조혈모세포 이식이 증가하는 추세다. 그러나 지금껏 반일치 이식과 비혈연 이식 간 치료 성적을 비교한 소아청소년 대상 연구는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2013년 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소아청소년 고위험 급성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반일치 공여자 이식군(반일치 이식군, 35명) △비혈연 공여자 이식(비혈연 이식군, 45명)의 치료 결과를 비교했다. 

그 결과 조직적합성항원이 절반만 일치하는 혈연 반일치 이식군의 생존율은 88.6%였다. 반면 조직적합성항원이 일치하는 비혈연 이식군의 생존율은 83.7%로 확인됐다. 즉, 반일치 이식과 비혈연 이식 간 치료 효과는 대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일치 공여자 이식군과 비혈연 공여자 이식군의 생존율 비교.
▲반일치 공여자 이식군과 비혈연 공여자 이식군의 생존율 비교.

또 합병증인 중증 급성 및 만성 이식편대숙주병 발생률은 반일치 이식군이 각각 2.9%, 11.4%로 비혈연 이식군(각 8.9%, 18.3%)과 비교해 더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생존율은 비혈연 이식군의 85.6%보다 반일치 이식군이 93.8%로 더 높아 우수한 치료 결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반일치 이식군이 기존 비혈연 이식군과 대등한 치료 결과를 나타나게 된 이유를 기존 시행하던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개인 맞춤 항암제(부설판) 투여와 이식 후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투여를 병용해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이식을 시행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기존 비혈연 이식에 비해 이식편대숙주병 발생률이 더 낮고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 생존율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결과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강형진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적절한 공여자가 없어 조혈모세포를 이식받기 어렵거나 이식이 늦춰졌던 환자에게 반일치 이식이 필요한 경우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이식을 시행할 수 있다는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Transplantation and Cellular Therapy 1월 1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