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 2021] AMI 이후 CV, HF 예방 평가한 PARAIDSE-MI 결과 발표
라미프릴 대비 개선 혜택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 확보 실패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 적응증 확대 실패한 노바티스 엔트레스토(성분명 사쿠비틸/발사르탄)가 결국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CEi)의 벽을 넘지 못했다.

엔트레스토가 라미프릴 대비 급성심근경색(AMI) 치료 후 심혈관 사망 및 심부전 입원 등 개선에 이점이 없었던 것이다.

이 같은 내용이 담긴 PARADISE-MI 임상3상 결과는 15~17일 온라인으로 열린 미국심장학회 연례학술대회(ACC 2021)에서 발표됐다.

 

엔트레스토, 라미프릴 대비 이점 확보 못해

하버드의대 Marc Pfefer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엔트레스토가 심부전 발병 위험이 높은 AMI 후 환자의 심부전 및 심부전 관련 입원, 심혈관 사망 등을 줄일 수 있는지 평가했다.

연구팀은 41개 국가에서 5669명의 환자를 모집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좌심실박출률(LVEF) 40% 이하의 기능장애 또는 일시적 폐 울혈 등 적어도 1개의 급성심근경색 위험 인자를 갖고 있었다.

다만, 이번 연구에는 심부전 이력, 임상 불안정성, 추정사구체여과율(eGFR) 30ml/min/1.73㎡ 이하, 혈관부종 등이 있는 환자는 제외됐다. 평균연령은 62세였고 24%는 여성이었다.

연구 참여자의 76%는 ST분절상승 급성심근경색, 89%는 경피적 관상동맥우회술, 5%는 혈전용해를 수행했다. LVEF는 37±9%였고, 58%는 killip Class≥2등급이었다.

참여자들은 항혈소판치료, 혈압 및 콜레스테롤 강하 등 심장병 위험을 줄이기 위한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엔트레스토 투여군(n=2830)과 라미프릴 투여군(n=2831)에 무작위 배정했다. 참여자들은 추적관찰기간 중앙값(23개월) 동안 약물을 복용했다.

연구 결과, 엔트레스토군은 1차 목표점으로 설정한 심혈관 사망,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심부전으로 인한 외래방문 등 발생 위험이 라미프릴군 대비 10% 낮아지는 경향만 보이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HR 0.90; 95% CI 0.78-1.04; p=0.17).

좀 더 자세히 보면, 엔트레스토군은 11.9%가 1차 목표점을 달성한 반면, 라미프릴군은 13.2%로 나타났다.

심혈관 사망의 경우 엔트레스토군은 5.9%, 라미프릴군이 6.7%였고,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은 각각 6.0%, 6.9%를 나타냈다. 또 심부전으로 인한 외래는 각각 1.4%와 2.0%였다.

다만, 이 같은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입증하기 위해 사전 지정된 임계값인 15% 감소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다.

 

라미프릴 대비 안전성만 입증..."2차 목표점 개선 경향"

이미지 출처 : 포토파크닷컴
이미지 출처 : 포토파크닷컴

엔트레스토는 2차 목표점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실패'라는 결과지를 받았다.

실제 2차 목표점으로 설정한 심혈관 사망 또는 심부전 입원은 엔트레스토군 10.9%, 라미프릴군 11.8%였고, 심부전 입원 또는 외래는 각각 7.1%와 4.7%였다.

아울러 심혈관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 또는 비치명적 뇌졸중은 엔트레스토군 11.1%, 라미프릴군 12.3%로 나타났고 심혈관 사망, 심부전,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으로 인한 총 입원은 각각 11.0%와 12.8%였다. 또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은 엔트레스토 7.5% 라미프릴 8.5%로 나타났다.

다만, 이 같은 결과 역시 통계적 유의성은 확보하지 못했다(HR 0.91; 95% CI 0.78-1.07; p=0.25).

이를 두고 연구팀은 1차 목표점 달성 실패는 인정하면서도 2차 목표점에서 개선 경향을 보였다는 점을 강조했다.

연구 책임자인 Marc Pfefer 교수는  "엔트레스토가 주요 목표점을 크게 개선한 것은 아니지만, 라미프릴보다 점진적인 개선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연구"라며 "엔트레스토는 효과가 입증된 ACE 억제제 라미프릴만큼 안전하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강조했다.

실제 전체 이상반응은 엔트레스토군(83.1%)과 라미프릴군(82.1%)에서 발생했다. 혈관부종, 고칼륨혈증, 신장손상, 간 이상 등 발생 비율은 두 군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모든 원내 중대한 이상반응(SAE) 역시 각각 40.5%, 39.8%로 비슷했다.

다만 엔트레스토군에서 저혈압이, 라미프릴군에서 기침이 더 많이 보고됐다. 

Marc Pfefer 교수는 "엔트레스토는 의료진이 심부전 환자에게 사용해도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연구 결과는 가이드라인 변경을 가져오진 않겠지만 의료진이 심부전 환자에게 안심하고 처방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