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2021 당뇨병 진료지침(제7판)' 발표
BMI 23kg/㎡ 이상 성인, 경구포도당내성검사 고려 권고안 추가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이승환 교수는 6~8일 온라인으로 열리는 '대한당뇨병학회 제34차 춘계학술대회 및 제5차 한일당뇨병포럼'에서 '2형 당뇨병 선별검사' 관련 변경된 권고안을 7일 소개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이승환 교수는 6~8일 온라인으로 열리는 '대한당뇨병학회 제34차 춘계학술대회 및 제5차 한일당뇨병포럼'에서 '2형 당뇨병 선별검사' 관련 변경된 권고안을 7일 소개했다.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대한당뇨병학회가 2019년에 이어 2년 만에 '2021 당뇨병 진료지침(제7판)'을 발표했다.

진료지침은 6~8일 온라인으로 열린 '대한당뇨병학회 제34차 춘계학술대회 및 제5차 한일당뇨병포럼'에서 7일 공개됐다. 

이번 진료지침은 성인 1형 또는 2형 당뇨병, 소아청소년 2형 당뇨병과 임신당뇨병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최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근거수준과 권고범위를 제시해 표준화된 당뇨병 치료 및 관리지침을 제시했다.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개정된 진료지침의 구체적인 내용을 조명했다.

[KDA 진료지침①]과체중 이상 성인 '당뇨병 선별검사' 적극 고려
[KDA 진료지침②]동반질환 따른 당뇨병 치료 'SGLT-2i·GLP-1RA' 주목
[KDA 진료지침③]신설된 '연속혈당측정과 인슐린펌프' 권고안은?

과체중 또는 비만한 성인도 2형 당뇨병 선별검사를 적극 고려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당뇨병학회 진료지침위원회의 '2021 당뇨병 진료지침(제7판)'에서는 2019년 제6판에서 제시한 권고안을 바탕으로 체질량지수(BMI)를 고려해 선별검사를 진행하도록 권하는 내용이 추가됐다.

2019년 진료지침 권고안에서는 공복혈당장애(IFG) 1단계, 즉 공복혈장포도당(FPG) 100~109mg/dL 또는 당화혈색소 5.7~6.0%인 경우 매년 FPG 또는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도록 제시했다.

올해 개정된 진료지침에는 기존 권고안에 BMI 기준이 추가됐다. 구체적으로 FPG 100~109mg/dL 또는 당화혈색소 5.7~6.0%인 경우 매년 FPG 또는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며 'BMI 23kg/㎡ 이상에서는 경구포도당내성검사를 적극 고려'하도록 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이승환 교수(내분비내과)는 "진료지침 개정 시 FPG 또는 당화혈색소 수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추가 검사를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뤄졌다"며 "이번 진료지침에서는 과체중 또는 비만한 성인도 경구포도당내성검사를 적극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을 추가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변화는 국내에 효과적인 당뇨병 예방 중재법을 개발하기 위해 한국당뇨병예방연구사업단(KDPS)이 진행 중인 무작위 대조군 연구 결과를 근거로 이뤄졌다(Korean J Intern Med 2021;36(2):382~391). 이 연구는 2016년 7월부터 진행 중이다. 

연구에는 △30~70세 △FPG 100mg/dL 이상 △당뇨병 병력 없음 △BMI 23kg/㎡ 이상 등에 해당하는 성인 1637명이 모집됐다. 이들의 평균 BMI는 26.3kg/㎡로 비만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당뇨병으로 새로 진단받은 BMI 23kg/㎡ 이상 성인은 446명이었다. 그러나 76.2%는 FPG가 126mg/dL 미만으로 당뇨병 진단기준인 126mg/dL 이상에 해당하지 않았다. 즉, FPG만 두고 당뇨병 선별검사를 진행하면 당뇨병 환자 4명 중 3명 이상을 놓칠 가능성이 있었다. 

또 경구포도당부하 후 2시간 혈장 포도당(2hr PG)이 200mg/dL 이상으로 당뇨병 진단기준에 부합한 성인은 59.2%로 조사됐다. 

이에 △FPG △2hr PG △당화혈색소(6.5% 이상) 등 당뇨병 진단기준을 조합해 진단율을 분석한 결과, 세 가지를 모두 진행했을 때 446명이 진단기준에 해당됐다. 아울러 △FPG+2hr PG △2hr PG+당화혈색소 등 조합 시 각 420명과 426명이 당뇨병으로 진단됐다.

종합하면, 두 가지 이상의 당뇨병 진단기준을 조합해 평가하면 당뇨병 환자 90% 이상을 찾을 수 있었다. 

이와 함께 FPG에 따라 2hr PG가 200mg/dL 이상인 비율을 확인한 결과 △100~109mg/dL 19% △110~125mg/dL 43.5%로 조사됐다. 과거 코호트 분석에서는 각 2%와 14% 비율로 보고됐는데, 당시 연구의 평균 BMI는 23~24kg/㎡로 이번 연구보다 낮았다는 게 이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이번 연구는 과체중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했기에 당뇨병 진단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FPG 100mg/dL 이상인 공복혈당장애 1단계도 경구포도당내성검사를 적극 고려해야 할지 논의했고, 그 결과를 진료지침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