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1팀에서 2팀 운영... 항공이송과 연계
노영선 센터장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일"

서울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서비스가 3월부터 확대 운영된다. 
서울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서비스가 3월부터 확대 운영된다.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그동안 서울 강북지역에 한정돼 있던 서울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서비스(SMICU) 서비스가 확돼된다. 

SMICU는 서울시가 서울대병원에 위탁해 운영하는 것으로 응급의학과 전문의, 간호사 및 1급 응급구조사 2인이 팀이 돼 환자를 이송하는 서비스다. 

다급한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일이지만 비용 등의 문제로 지자체 지원 없이는 운영할 수 없는 서비스라 수가 책정 등이 필요한 부분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올해 2월 기준으로 2016년 5월부터 4261명의 중증응급환자를 이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뇌졸중, 심근경색 등 중증응급환자가 치료를 위해 다른 병원으로 이송할 때 이송에 적합한 장비를 갖춘 중환자전용 대형 구급차(Mobile Intensive Care Unit, MICU)와 의료진이 전문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이 서비스의 핵심이다.

환자 이송을 요청하는 병원이 서울대병원의 중증응급환자이송팀에 의뢰하면 SMICU가 출동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12일 SMICU를 운영하는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에서 기자 간담회를 개최했다.
12일 SMICU를 운영하는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에서 기자 간담회를 개최했다.

12일 SMICU를 운영하는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팀이 기자간담회를 열고 SMICU 수요가 증가해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2016~2020년 매년 서울권역내 중증응급환자 병원간 이송은 연간 약 1000건, 2020년 코로나 19 확진 등으로 중증환자 수도권역 내 병원간 이송이 130여건 등으로 병원 간 이송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SMICU를 이끌고 있는 노영선 센터장은 중증응급환자의 병원 간 이송 요청에 대한 반응시간이 지연된 것도 서비스를 확대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또 현재 특수구급차를 1대만 운영하기 때문에 출동 중에 요청이 들어오면 취소해야 하고, 서울대병원이 강북에 위치하고 있어 강남권역 요청은 늦어질 수밖에 없었다고 확대 이유를 말했다. 

실제 2018~2020년 미출동 사유를 보면 즉시 출동이 불가한 경우는 SMICU가 출동 중이 2018년 57건, 2019년 61건, 2020년 51건으로 많았다

노 센터장은 "SMICU를 강북권역과 강남권역 2팀으로 운영되고, 이송 요청 대응 및 특수구급차 반응시간을 단축할 것"이라며 "항공이송과 SMICU가 연계된다"며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서비스가 전국으로 확대된다"고 소개했다. 

이어 "전문의, 간호사, 응급구조사 등 인력 선발 및 교육을 3월 안에 추진하고, 장비와 시설 등도 준비하고 있다"며 "강북권역센터는 서울대병원이, 강남권역센터는 서울의료원(안)이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항공이송과 SMICU 연계에 대해서는 소방/닥턱헬기를 연계하고,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하는 모델을 제시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구급차 내에서의 행위 수가 책정 필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서비스지만 이 서비스를 준비하는 다른 지방자치단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홍기정 교수(응급의학과)는 "구급차 1대 가격이 10억 이상이고, 간호사와 응급구조사 등의 인건비 지원 등 만만치 않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지자체 지원이 없으면 운영이 곤란하다"며 "서울대병원도 서울시가 90% 지원하고, 10%를 매칭펀드로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도 구급차 안에서 하는 거의 모든 행위에 수가 적용이 되지 않는다"며 "최근 닥터헬기 안에서 이뤄지는 행위에 대해 수가가 만들어졌는데 그 선상에 맞춰 수가가 인정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